21 1131

Cited 0 times in

임상화학검사 정도관리성적의 평가 및 관련요인 분석

Authors
 신인순 
Issue Date
1990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임상화학 검사실의 정확도 및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한임

상검사정도관리학회에 가입하여 1989년말 현재 임상화학검사 외부정도조사에 참여했던 19

1개 검사실 중 154개 검사실을 대상으로 검사실의 일반적 특성, 인력 특성, 정도조사 관

리물질 측정과정, 내부정도관리체계 그리고 외부정도조사에의 참여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확도 성적에 따라 검사실을 분류해 보면 임상화학검사 측정항목수가 20개 항목

이하인 검사실의 46.9%가 임상화학전담 임상병리전문의가 없는 검사실의 34.6%가, 임상

화학전담 임상병리사수가 1명인 검사실의 45.2%가 그리고 책임기사의 근무년수가 5년 이

하인 검사실의 45.6%가 '하 ' 군에 속하였다. 또한 수기법 파이펫을 사용한 검사실의 38.

05가 관리도를 작성 게시하지 않은 검사실의 40.0%가 그리고 외부정도조사 불참횟수가 3

회 이상인 검사실의 47.4%가 '하'군에 속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선정된 독립변수들 각각에 대한 평균 정확도 수준의 차이를 분

석한 결과 임상화학전담 임상별리사수, 책임기사의 근무년수, 관리도의 작성 게시 유무,

외부정도조사 불참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평균 정밀도 수준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임상화학검사 측정항목수, 임상화학전담 임상병리전문의수, 외부정도조사 불참횟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구축된 모형내에 포함된 다른 변수들에 의한 영향을 통제한 후 독립변수들 각각

의 정도관리성적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와 방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책임기사의 근무년수와 외부정도조사 불참횟수가 정확도성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이 요인들의 회귀계수의 방향은예상했던 것과 일치하였다. 선정된

8개 변수들에 의하여 정확도 성적은 19.4%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구축된 완전모형은 유

의하였다. 임상화학전담 임상병

리사 1인당 임상화학 검사건수와 외부정도조사 불참횟수가 정밀도 성적에 유의하게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회귀계수의 방향은 임상화학전담 임상병리사 1인당 임상화학 검

사건수의 경우 예상했던 것과 일치 하쳤으나 외부정도조사 불참횟수의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았다. 선정된 8개 변수들에 의하여 정밀도 성적은 14.2%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구축

된 완전모형은 유의하였다.

넷째, 모형내의 나머지 독립변수들에 의한 영향을 통제한 후 정도관리성적의 향상에 기

여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비차비를 산출하기 위하여 반응범주가 세 개인 로지스틱 회귀분

석 (일반화 로짓모형)을 실시한 결과 임상화학전담 임상병리전문의수, 시약의 선정과정,

파이펫 자동화 여부, 외부정도조산 불참휫수는 정확도성적 '하'를 '중'으로 높이는데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효과적이었다. 이연구에서 구축한 일반화 로짓모형은 모수의 적합도

검정 결과 정확도 및 정밀도모형에서 각각 유의하였다. 모형내의 나머지 독립변수들에 의

한 영향을 통제 하였을 때 정확도 성적 '중'군에 대한 '하'군치 비차비를 보면 임상화학

전담 임상병리전문의수는 3.56, 시약의 선정과정은 1.85, 파이펫 자동화 여부는 3.56 그

리고 외부정도조사 불참횟수는 1.40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검사실 책임자의 관리감독, 책임기사및 임상병리사의 검사업

무에 대한 전문화 분석도구 및 장비의 자동화,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내부정도관리의 계획

및 실시 여부 그리고 외부정도조사에의 계속적인 참여가 검사성적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인들에 대한 적절하고 효율적인 관리와 통제를 통하

여 검사실의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고, 검사실간의 변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

로 생각되어 진다. 또한 앞으로 공식적인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미가입하고 있으면서, 내

부정도관리 조차도 실시하고 있지 않은 개인 병·의원급의 검사실을 대상으로 보다 실질

적인 문제를 파악하여 검사성적의 향상을 위한 기본 여건을 마련하고 제시하기 위한 노력

이 필요하겠다.





Laboratory Proficiency-Test Performance in Korea : Its relationship to structural

and process variables



Ein Soon Shi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an Joong Kim, M.D.,Ph.D.)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clincal laboratory proficiency test performance

and identify determinants of perfonrmance scores. The perficiency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erms of accuracy and percision while explanatory variables include

both structural and process characteristics in clinical laboratory performance.

The study included 154 laboratories participating in progiciency-testing surveys

of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Control in Clinical Path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Laborato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accuracy levels. Laboratories classified at the low accuracy level

were likely to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less experienced chief

technician; and the use of manual pipett.

2. Number of technicians, years of experience of the chief technician, an

exhibition of quality control graph chart, and numbers of lack of participation in

proficiency-testing tri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mean accuracy level.

Number of test items, number of coctors, and numbers of lack of participation in

proficiency-testion trials were sehnificanlty different in the mean precision

level.

3.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9.4% of the variation in the accuracy

level, and this full-model was significant. Years of experience of the chief

technician, and numbers of lack of participation in proficiency-testing trials were

significant, with signs consistent with the predicted direction. Another regression

model explained 14.2% of the variation in the precision level, and this model also

was significant. Numbers of test per technician was significant, consistent with

the predicted direction. Contrary to the expectation, numbers of lack of

participation in proficiency-testion trials revealed inverse sign.

4. Generalized logit model sith three response levels revealed that a number of

doctors, selection of suitable reagent, using automatic pipett and a numbers of

lack of participation in proficiency-testion trials were significant enough to

improve the performance from the lower group to the middle group.

In summary,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medical specialists, experience of the

chief technician, automation of instruments, intralaboratory quality control

system, and continued participation of laboratories in proficiency-testing program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performance. These factors, therefore,

should be effectively monitored and controlled to improve laboratory performance

and to diminish interlaboratory variability. For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realted to higher performance for laboratories not participating

in proficiency-testing program and without an intralaboratory quality control

program.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