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88

Cited 0 times in

한국산 쑥 화분내 알레르겐 성분 및 그 성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llergens from Korean artemisia spp. pollens and their characterization : 
Authors
 박해심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쑥(Artemisia spp.)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로서 우리 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민등(1984)과 흥등(1986)의 서울지역 화분 조사에 의하면 8월 중순부터 9월까

지 상당량의 쑥 화분을 대기중에서 검출할 수 있다고 하였고, 김등(1987)이 시행한 한국

산 화분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단자시험(skin prick test) 결과 알레르기성 비염 및 천식

환자에서 쑥(sagebrush)과 돼지풀(ragweed)에 높게 양성 반응을 나타내는 등 쑥 화분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중요한 흡입성 알레르겐으로 관여하리라 사료된다.

화분내 알레르겐 성분을 규명하는 방법으로 immunoblotting법과 autoradiography를 이

용한 연구들이 보고되어 있으나 쑥 화분에 있어서 이와같은 방법과 sodium dodecyl sulfa

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 및 겔 유출법(gel elution)을 이용한

알레르겐 관찰이나 이의 분리에 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나라 호흡기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화분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한국

산 쑥(쑥:Artemisia princeps, Pampan) 화분의 성분과 주요 알레르겐을 규명하고 겔 유출

법을 이용하여 이의 분리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자가 준비한 쑥 조항원(crude antigen) Img/ml 용액 50ul에 wormwood (W^^5)-ra

dio allergosorbent test(RAST) class 4 혈청 1 : 10 희석액 50ul를 작용시켰을 때 80,9%

의 쑥-특이 IgE와의 결합 억제가 관찰되었다.

2. 음이온 교환수지 (DEAE Sephadex A^^50)를 통과한 한국산 쑥 화분유출액을 10% SDS-

PAGE를 시행한 후 이를 Coomassie brilliant blue 용액으로 염색하고 densitometric scan

ning을 통하여 28개 이상의 단백질 대를 관찰하였다.

3. 한국산 쑥 화분 유출액으로 10% SDS-PAGE을 시행하고 immunoblotting 한 후 쑥 화분

에 감작된 환자 20명의 혈청 및 대조군 7명의 혈청과 반응시킨후 autoradiography를 시행

하였을 때, 분자량이 10,000에서 85,000에 속하는 IgE와 결합하는 16개의 알레르겐성 분

획(allergenic fraction)을 관찰하였으며, 50%이상의 환자 혈청과 반응한 분획은 12개였

으며, 9번과 12번 분획은 대상 환자의 85%에서 관찰되었고 이들의 분자량은 각각 37,000,

23,000이었다.

4. 환자의 알레르기 질환에 따라서 이들 분획 수에는 차이가 없었고, 대상 환자의 혈청

내 쑥-특이 IgE치(wormwood-RAST 시험시 결합 방사능)와 알레르겐성 분획 수간의 상관계

수는 0.18이었다.

5. 10% SDS-PAGE 겔(gel)에서 유출한 11개의 알레르겐 성분을 이용하여 wormwood-RAST

억제 시험을 시행하고 쑥-특이 IgE와의 결합을 50% 억제시키는 단백질 함량으로 나타낼

때, 12번 분획이 포함된 A10군(2.4ug)이 가장 낮았으며, 9번 분획이 포함된 A7군(2.6ug),

A9군(3.Oug)의 순이었다. 또한 이들 알레르겐 성분으로 쑥 화분에 감작된 환자 10명과

피부단자시험상 음성인 환자 4명에서 피부단자시험을 시행한 결과 환자의 50% 이상에서

히스타민(1mg/ml)에 대한 팽진(wheal)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낸 군

은 여섯군으로 A6∼A11군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쑥 화분내 IgE와 결합하는 알레르겐성 분획은 16개로서 그중에서

가장 높게(85%) 관찰된 분획의 분자량은 37,000과 23,000이었으며, SDS-PAGE와 immunoblo

tting 및 autoradiography법을 이용한 주요 알레르겐 관찰은 알레르겐 성분 연구에 신속

하고 애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되며, 알레르겐 성분 분리에 겔 유출법도 이용할 만한

가치가 있으리라 여겨진다.





A Study on the Allergens from Korean Artemisia app. Pollens and their

Characterization



Hae Sim Park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eung Jai Choi)



Artemisia spp. pollen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ain late summer-autumn

allergen sources in this country. To identify its allergenic components, Artemisia

princeps extracts were fractionated by 10%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 and 28 fractions were detected on chromatoscanner.

When they were electroblotted onto nitrocellulose membrane, probed with serum

samples of 20 Artemisia-allergic and 2 non-allergic patients and (125)**I-anti

human IgE(Pharmacia Diagnostics), sixteen IgE binding components in molecular range

of 10 kilodalton(KD) and 85 KD were detec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llergenic fractions

among allergic diseas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allergenic

fractions and Artemisia-specific IgE level (bound radioactivity of wormwood-RAST)

was poor (r=0.18).

Twelve bands bound IgE from 50% of sera tested and two (37 KD, 23 KD) bands

showed highest (85%) bindings in 20 sera tested. These allergenic fractions were

separated by 10% SDS-PAGE and gel elution method and divided into 11 groups

(A1∼A11). When the allergenic potency of each group was measured by wormwood

(W^^5)-RAST inhibition test and skin prick test, the protein content of each group

that inhibits 50% IgE binding was lowest in A10 (2.4 ug) including 12 fraction (37

KD) and A7 (2.6 us) group including 12 fraction (23 KD), which showed highest

binding on autoradiography.

Six groups (A6∼A11) showed significant response (more than 100% of wheal size to

histamine) on skin prick test in more than 50% of patients tested.

It is suggested that electrophoretic transfer analysis with SDS-PAGE may thus be

valuable method for Artemisia allergen ident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gel elution for partial purification of allergens is discuss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43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