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529

Cited 0 times in

Nimodipine이 쥐의 뇌경색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세혁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뇌혈류의 감소로 발생되는 허혈성 뇌질환은 비가역적인 뇌손상의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허혈성 손상으로 부터 뇌를 보호하는 것은 중요한 임상과제로 생각된다. 허혈성

뇌손상은 국소허혈 후에 오는 지연성 저관류와 비가역적 세포손상을 초래하는 세포막변성

에 의해서 야기된다고 하며 칼슘이온은 두가지 뇌허혈의 병태생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칼슘통로 차단제는 허혈성 뇌질환의 가능한 치료제로서 생각되어 진

다. 칼슘통로 차단제 중의 하나인 nimodipine은 dihydropyridine 유도체로서 강력한 혈관

확장 작용이 있으며 뇌혈관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쥐의 국

소뇌허혈 모델을 대상으로 nimodipine을 투여하여 nimodipine의 뇌허혈에 대한 효과를 보

고자 하였다. 중대뇌동맥 폐색 1시간, 2시간 그리고 6시간 후에 nimodipine 혹은 생리식

염수를 투여하였고 폐색 24시간 뒤에 시행한 신경학적 검사와 병리학적 소견을 통하여 ni

modipine 투여군과 중대뇌동맥 폐색만 시행한 대조군 및 생리식염수 투여군을 서로 비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Nimodipine 투여군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및 대조군보다 뇌경색의 면적이 약 5∼11%

감소 되었다.

2. 폐색 1시간 후의 nimodipine 투여군은 폐색 2시간 및 6시간 후의 nimodipine 투여군

보다 뇌경색의 범위가 작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3. 대조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 간에는 뇌경색 비율의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4. Nimodipine 투여군은 생리식염수 투여군 및 대조군보다 신경학적 소견이 양호하였다

.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허혈시 nimodipine은 신경학적 소견을 호전시키고 뇌경색의 범위

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Nimodipine의 작용기전은 확실히 알려wu 있지 않으나 n

imodipine은 뇌혈류를 증가시키거나 흑은 신경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허혈에 의한 뇌손상

으로 부터 뇌를 보호한다고 생각된다.





The Effects of Nimodipine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Se Hyuck Park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yu Chang Lee, M.D.)



Brain ischemia due to a critical reduction in cerebral blood flow is a well

recognized and common cause of irreversible brain damage. Therefore protecting the

human brain from ischemic damage is an important clinical problem. Two major

factors influence the sequelae of cerebral ischemic injury : the delayed

hypoperfusion that occurs after focal ischemia and membrane failure that leads to

irreversible cell injury. Calcium ions play a major role in both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And so calcium channel blockers are a logical choice for investigation

as possible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ischemia. Nimodipine,

a dihyropyridine derivative, is one of the most potent calcium channel blocking

agents with a selective action on the intracranial vessel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nimodipine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At

1, 2 or 6 hours after occlusion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MCA), rats were

treated with either nimodipine or saline. Neurological and patholog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t 24 hours after occulusion. Neurological outcome was better in

nimodipine-treated rats and the size of the infarcted area was statistically

smaller in rats treated with nimodipine 1, 2 or 6 hours after occlusion (p<0.001,

p<0.001,p < 0.001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control rats (MCA occlusion

only) or saline-treated rats. The results show that nimodipine improves

neurological outcome and decreases the size of the infarcted area after ischemic

insult. The mechanism of action of nimodipine is not fully understood but

nimodipine could influene cerebral postischemic changes by improving blood flow

and/or by a direct action on neur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36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