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623

Cited 0 times in

사람 얼굴신경의 발생에 관한 연구

Authors
 박명철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얼굴신경은 제 7 뇌신경이며, 특이하게 벼뼈 이루어진 긴 관속을 지난다. 또한 주행도

상당히 복잡하여 내이도부분, 수평부분, 수직부분 및 말초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얼굴신경의 변이 및 기형은 내이 및 중이 등의 주위 구조들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

다. 또한 최근에는 측두골내의 안면신경의 부분도 외과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얼굴신경의 발생에 관한 보고는 Gasser(1967) 및 Mastsumura(1981)의 보고 이외에

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는 현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카네기 발생기로 분류한 발생 12기∼22기까지의

사람 배자 22예에서 연속절편 및 재구성 방법으로 얼굴신경의 발달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얼굴신경은 발생 12기에 귀소포 앞쪽의 청얼굴신경절로부터 발생한다.

2. 얼굴신경자 전정달팽이 신경은 발생 13기에 구분되기 시작하였으며, 기시부분은 발

생 16기에 구분되었다.

3. 무릎신경절은 발생 16기에 출현하였고, 청얼굴신경절 및 아가미궁상판이 모두 관계

되었다.

4. 얼굴신경의 수평부분은 발생 16기에 구분할 수 있었고, 발생 21기에 내이도부분을

구분할 수있었다.

5. 얼굴신경의 주요 가지는 배자기 중에 출현하였다.

따라서 뼈로 이루어진 긴 관을 지나는 얼굴신경은 발생 12기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배자

기말이 되면 주요 분지가 모두 형성되었다.





The Development of the Facial Nerve and Its Branches in Man



Myong Chul Park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In Hyuk Chung)



The facial nerve (7th cranial nerve) runs in the bony canal. Its course is the

mast complicated among cranial nerves, and can be divided into meatal, horizontal,

vertical, and peripheral part. The variations and anomalies of the facial nerve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ighboring structures such as inner and

middle ear. Recently there is a surgical approach to the intracranial part of

facial nerve,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the facial nerve and its branches are few, except

Gasser (1967) and Matsumura (1981).

The author made serial sections of 22 human embryos ranging from stage 12 to

stage 22, reconstructed the finding of the serial sections into a three dimensional

model with the aid of computer graphics, and pursued facial nerve to research its

development during embryonic peri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imordia of facial nerve appeared at stage 12 as an immature, dense

cellurlar condensation in front of the otic vesicle.

2. The facial nerve and vestibulocochlear nerve could be indentified at stage 13,

and its roots at stage 16.

3. The geniculate ganglion was identified at stage 16.

4. The horizontal part of the facial nerve was identified at stage 16, and meatal

part at stage 215.

5. The major branches of the facial nerve appeared during embryonic period.

The author perform this study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the facial nerve and

its branches during embryonic period, particularly regarding to the time seque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facial nerve branch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38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