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4 941

Cited 0 times in

뇌졸중 환자의 좌우반구 병소에 따른 한글 실서증 특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지혜-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3:33Z-
dc.date.available2015-12-24T09:23:3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44-
dc.description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대부분의 뇌손상 환자들은 그 유형이나 중증도를 막론하고 쓰기 수행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쓰기장애를 포함하여 언어장애를 유발하는 원인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뇌졸중과 같은 혈관성 질환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쓰기장애의 특성을 고찰해 보는 것은 중요하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쓰기 수행의 오류를 지칭하는 실서증이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따라 문어 체계의 특징이 반영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인 한글은 표음 문자로서, 언어적 관점에서는 홑소리와 닿소리를 포함하여 한 음절 당 최소 2자에서 최대 6자의 기본 자소로 이루어진다. 시공간적 관점에서는, 각 자소가 사각의 형태 안에서 무리를 지어 조합되는 모아쓰기의 형식을 취하고 있고 각 글자는 쓰여지는 방향에 따라 세로(상하 방향)로만 배열되는 종단쓰기, 자소가 가로(좌우 방향)로만 배열되는 횡단쓰기, 앞에서 언급한 두 방향이 모두 혼합되어 있는 종횡단 혼합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한글은 시공간적 측면에서, 각 자소가 가로로만 배열되어가는 영어와 같은 알파벳 체계와 구별되며, 실서증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재료가 된다. 이와 같이 언어적 정보와 시공간적 특징을 뚜렷하게 가지는 우리나라 문자의 경우, 실서증의 본질에 접근하기 위해서, 두 가지 측면을 모두 확인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뇌반구를 좌, 우로 나누고 병소의 위치와 실서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피검자는 좌․우반구에 병소가 있는 각 7명씩, 총 14명의 오른손잡이 뇌졸중 환자와 연령 및 교육년수를 통제한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는 총 90개의 글자를 1음절 씩 듣고, 받아쓰도록 하였다. 검사에서 측정한 자료를 통해 좌, 우반구 병소 부위에 따른 수행력을 확인하고, 언어적 측면과 시공간적 측면 모두를 고려하여 오류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좌, 우반구 병소 집단이 수행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맨 휘트니 검정(Mann-Whitney test)으로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병소 부위에 따른 환자군 간의 정반응 점수를 비교한 결과, 우반구 병소집단이 좌반구 병소집단보다 수행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3), 이러한 결과는 언어중추의 손상 여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둘째, 두 집단의 오류 형태에 따른 오류 횟수를 비교한 결과, 좌반구 병소군의 경우 언어적 오류가, 우반구 병소군의 경우는 시공간적 오류가 가장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우반구는 일반적으로 시공간적 기능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 병소가 위치한 경우 시공간적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이고, 좌반구의 경우는 언어 중추가 위치하므로, 언어적 오류를 많이 보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셋째, 두 집단의 오류 횟수를 쓰기의 하위 범주(예: 종단쓰기, 횡단쓰기, 종횡단 혼합쓰기)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종횡단 혼합쓰기에서 두 집단 모두 가장 높은 오반응율을 보였다. 이것은 종횡단 혼합쓰기의 언어적, 시공간적 복잡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이러한 결과들은 쓰기가 수행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각 반구의 역할이 서로 다름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고, 그 역할이 사각 형태 안에 자소가 조합되는 한글이라는 문자에서 더욱 두드러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한글에 내재된 두 특성인 언어적 기제와 시공간적인 기제는 서로 이분되어, 각각의 반구에서 개별적으로 처리된다는 가설을 지지해준다.본 연구는 언어적으로는 표음 문자이면서 시공간적으로는 형상학적인,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인 한글을 통해 쓰기에 관여하는 각 반구의 분화된 기능에 접근하는 방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영문]Patients with brain injury may show some degree of writing disorder, and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is a stroke.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errors in Korean stroke patients is important. Interestingly, agraphia is manifes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phemic system of a written language.The Korean alphabet, Hangul, is a phonogram with each syllable containing at least one consonant and one vowel. From the visuospatial point of view, each syllable is organized in vertical(or ‘top to bottom'), horizontal(or ‘left to right'), or mixed-orientation(or ‘horizontal & vertical') with two-to-six graphemes. Such linguistic and visuospatial features of Hangul differ from those of other languages(i.e., English) which are written only in a horizontal orienta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y language-specific error patterns in terms of a linguistic or visuospatial point of view. We compared two stroke patient-groups: one with left hemisphere(LH) lesions and the other with right hemisphere(RH) lesions. Of the 26 subjects, 14 were right-handed patients with either LH or RH lesion, and 12 were normal subjects who were matched by age and years of educa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write-to-dictation a total of 90 syllables. We examin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analyzed the writing errors according to criteria based on linguistic and the visuospatial factors.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overal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was the lowest in the LH group and the highest in the normal control. Second, linguistic errors such as paragraphia were significantly dominant in the LH group whereas visuospatial errors such as abnormal graphemic configuration were more prominent in the RH group. Third, writing errors in mixed-orientation were most prominent in both groups, but the LH group showed more linguistic errors while the RH group showed more visuospatial errors.Traditionally, it has been known that language is processed by LH, whereas imagery, visuospatial and perceptual functions are processed in RH.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ability to spell a word and the latter to dra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From the results, therefore, the prominent visuospatial errors in the RH group could be explained by the ability of RH to control visuospatial functions. One of the interesting findings was that our patients manifested visuospatial errors which are not commonly observed in English-writing patients due to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syllabic organizations in Korean writing. That is, in Korean syllabic writing, each graphemic position of the consonant(s) and the single vowel within a syllable needs to be maintained within a square pattern. This unique characteristic might be susceptible to an RH lesion due to the visuospatial feature of syllabic writing.In summary, error patterns of Korean writing are dominantly linguistic and visuospatial in LH and RH lesion groups, respectively. The respective role of each hemisphere in writing may differ and is far more prominent in Hangul due to the unique, syllabic orientation of this writing form.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Korean writing system(Hangul) is bi-dimensional in nature in both linguistic and visuospatial processes and thus operated by both hemispher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뇌졸중 환자의 좌우반구 병소에 따른 한글 실서증 특징-
dc.title.alternativeKorean agraphia in unilateral hemispheric lesion : left versus righ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Ji Hy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