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795

Cited 0 times in

안구돌출과 안와골, 안검열, 미모 및 비교와의 상관관계

Authors
 노세현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안구돌출이란 양안으로 한 점을 주시하고 있을 때 각막정점에서 안와외측연까지의 수직

거리를 뜻하며 안구돌출은 안와질환의 대부분에서 안와내용물 증감에 따른 안증상으로서

나타나고 이것의 측정은 안와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검

사다.

생체안에서 안구돌출은 안와의 넓이, 높이 및 깊이와 안검열과 안면골의 형태등에 따라

서 달라지고 측정하는 기구, 방법 및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정확한 안

구돌출의 정도를 측정하기가 어렵다. 저자는 건강한 한국인 남자 성인의 130안을 대상으

로 Silva의 방사선촬영법, Hertel의 안구돌출계 및 Watson의 topometer를 사용하여 안구

돌출도를 측정하고 아울러 안구돌출도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안와골, 안

검열, 미모 및 비교(nasal bridge)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Ⅰ. Hertel의 방법, Watson의 방법 및 Silva의 방법을 이용한 안구돌출도의 측정 (실험

1).

Ⅱ. Silva의 방법으로 측정한 안와의 넓이, 높이, 깊이 및 안와지수와 실험 I과의 상관

관계(실험 Ⅱ).

Ⅲ. 안검열의 넓이와 높이, 비교의 높이, 미모의 길이, 미모에서 안검연까지의 길이,

상안와연에서 안검의 높이 (안검의 두께)등을 측정, 실험 Ⅰ,Ⅱ와의 상관관계 검정(실험

Ⅲ)에 대하여 각각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안구돌출도는 Silva의 방사선촬영법으로 측정한 우안 18.46±0.20㎜, 좌안 18.55±0

,20㎜, Hertel의 방법에 의한 결과 우안 16.45±0.23㎜, 좌안 16.51±0.23㎜, Watson의

방법에 의한 결과 우안 14.43±0.23mm, 좌안 14.55±0.23㎜였다.

2. Silva와 Hertel의 방법으로 측정한 안구돌출도에서 좌우안별 차이는 각각 0.09㎜, 0

.06㎜로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으나 Watson의 방법에 의한 안구돌출도는 좌안이 우안보다

0.12㎜ 커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Silva의 방법으로 측정한 안구돌출도가 가장 컸고 다음이 Hertel의 측정법, Watson

의 측정법 순이었으며 이들 산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Silva의 방사선촬영법으로 측정한 안와의 높이는 우안 37.14±0.28㎜, 좌안37.78±0

.31㎜, 넓이는 우안 41.39±0.26㎜, 좌안 41.24±0.26㎜였고 깊이는 우안 50.67±0.58㎜,

좌안 50.56±0.55㎜였다. 안와지수는 우안 89.78±0.50, 좌안 89.92±0.48이었다.

5. 안와의 높이, 넓이, 깊이 및 안와지수등의 좌우안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6. Silva의 측정법으로 측정한 안와지수와 Silva, Hertel, Watson의 방법으로 측정한

안구돌출도와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7. 안검열의 길이는 우안 27.08±0.26㎜, 좌안은 27.15±0.26㎜, 높이는 우안 7.97±0.

16㎜, 좌안 7.79±0.17㎜였다. 미모에서 안검연까지의 길이는 우안 24.52±0.25㎜, 좌안2

4.72±0.32㎜였고 눈두덩의 두께는 우안 3.99±0.32㎜, 좌안 3.97±0.32㎜였으며 미모의

길이는 49.46±0.43㎜, 좌안 49.77±0.40㎜였다. 비교의 높이는 우안 6.53±0.17㎜, 좌안

6.60±0.18㎜였다.

8. 안검열의 높이는 우안이 좌안보다, 미모의 길이는 좌안이 우안보다 더 컸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 Silva의 방사선촬영법으로 구한 안와지수와 Watson의 방법으로 측정한 안검열의 길

이와 비교의 높이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10. Silva의 방사선촬영법으로 측정한 안구돌출도와 Watson의 방법으로 측정한 안검열

의 길이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ophthalmos, the Palpebral Fissure, the Eyebrow and

the Nasal Bridge



Sae Heun Rho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Ouk Choi, M.D. )



Exophthalmos denotes the vertical distance in millimeters that the apex of the

cornea stands in front of the compressed skin over the most posterior part of the

lateral orbital rim when the eyes are looking straight ahead.

Evaluation of exophthalmos is very impsrtant and fundamental in orbital disease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n absolutely correct value of exophthalmos

because the result of exophthalmometer is variable depending on several factors

such as height and width of the orbit, palpebral fissure. contour of facial bone,

the measuring equipment,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the person who performs the

exophthalmometry.

130 eyes of normal Korean adults were stud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xophthalmos and orbit, palpebral fissure, eyebrow and nasal bridge with Silva's

roentgenologic method, Hertel's exophthalmometry and Watson's topome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exophthalmos measured by Silva's method was 18.46±0.20 mm in the

right eye and 15.55±0.20 mm in the left ere. By Hertel's method, it was

16.45±0.23 mm in the right ere and 16.51±7.23 mm in the left eye. And by Watson's

method, it was 14.43±7.23 mm in the right eye and 14.55±0.23 mm in the left eye.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ilva's method and Hertel's

method, but by Watson's method, the left eye was more exophthalmic than the right

ere.

3) The amounts measured by Silva'S method was the largest followed by Hertel's

method and finally by Watson's method.

4) The height of the orbit was 37.14±0.28 mm in the right eye and 37.08±0.31 mm

in the left eye. The width of the orbit was 41.39±0.26 mm in the right eye and

41.24±0.26mm in the left ere. The depth of the orbit was 50.67±0.58 mm in the

right eye and 50.56±0.55mm in the left eye. The orbital index was 89.78±0.50 in

the right eye and 87.92±0.48 in the left eye.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screpancies in the height, width, depth or orbital

index of the orbit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eyes.

6)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rbital index and the

exophthalmos.

7) The length of the palpebral fissure was 27.08±0.26 mm in the right eye and

27.15±0.26 mm in the left eye. The height of the palpebral fissure was 7.77±0.16

mm in the right eye and 7.79±0.17 mm in the left ere. The distance from the

eyebrow to the upper lid margin was 24.52±0.25mm in the right ere and

24.72±0.32mm in the left eye, The thickness of the upper lid was 3.97±0.32 mm in

the right eye and 3.97±0.32 mm in the left eye. The length 7f the eyebrow was

47.46±0.43 mm in the right eye and 49.77±7.40 mm in the left eye. The height of

the nasal bridge was 6.53±0.17 mm in the right eye and 6.60±7.18 mm in the left

ere.

8) The length of the palpebral fissure was longer in the right ere than in the

left eye. But the length of the left eyebrow was longer than the right erebrow.

9)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orbital index and otter

measurements(the length and the height of the palpebral fissure, the distance from

the eyebrow to the lid margin and the height of nasal bridge).

10)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xophthalmos measured by

Silva's method and the length of the palpebral fissur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49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