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8 580

Cited 0 times in

일부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행위 실천과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iddle-sized manufacturing workers 
Authors
 정미경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일부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행위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자료 수집은 2006년 3월 9일부터 동년 4월12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인지역 모 병원의 산업보건센터와 보건관리대행을 하고 있는 50인 이상 300인 미만의 215개 사업장의 근로자중 이 연구의 취지에 찬성한 642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인 특성 17문항(직업특성, 건강수준 포함), 건강행위 실천 11문항,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 27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석방법은 SPSS 12.0 Window를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수준에서 물리환경은 남자, 이혼/사별/별거의 결혼상태, 자녀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층, 월수입이 적은 층, 사업장 규모가 작은 층, 단순노무직인 경우, 직위가 낮은 경우에서의 스트레스 점수가 높았다. 직무요구는 남자, 30대의 연령, 학력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많을수록, 연구. 전문직인 경우, 직위가 높은 층에서 높았다. 직무자율성 결여는 여자, 50대 이상의 연령, 이혼/사별/별거의 결혼상태, 학력이 낮고, 월수입이 적을수록, 기타종교를 가진 경우, 단순노무직인 경우, 직위가 없고, 근무 년수가 5년 미만인 경우에서 높았다. 관계갈등은 고 연령층에서,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단순노무직인 경우, 일반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서 높았다. 직무불안정은 30대에서, 고 학력일수록, 월수입이 많은 층에서, 사업장 규모가 50인 미만인 경우, 기타업종에서 높았다. 조직체계는 여자인 경우,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사업장규모가 300인 이상에서 높았다. 보상부적절은 여자, 학력과 월수입이 낮을수록, 사업장 규모가 50인 미만인 경우, 단순노무직인 경우, 직위가 낮은 층에서 높았고, 직장문화는 여자인 경우, 단순노무직, 직위가 없거나 중간층인 경우에서 직무 스트레스수준이 높았다.건강행위 실천 정도에서 운동 실천율은 월수입이 251만원 이상, 기타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근무 년수가 20년 이상의 근로자 집단에서 높았고 흡연율은 남자, 미혼인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높을수록, 직위가 중간층인 경우에서 높았다. 주2회 이상의 음주율은 남자, 미혼인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 전문대졸, 월수입이 201만원-250만원에서, 기능. 기술직에서 높았다. 7시간 수면 실천율은 기혼, 자녀가 있는 경우, 근무 년수가 20년 이상에서 높았다. 규칙적 식사율은 기혼, 자녀가 있는 경우, 단순노무직인 경우, 직위가 없는 경우에서 높았다.8개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 건강행위 실천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의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7시간 수면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직무자율성 결여의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흡연을 할 가능성이 0.62배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장문화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주 2회 이상 음주 할 가능성이 0.58배로 유의하게 낮았다. 물리환경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규칙적 식사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0.67배로 유의하게 낮았다.

[영문]For the past decades,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occupational stress plays a crucial role in increasing the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and sleep disorder influence the proces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iddle-sized manufacturing workers.A total of 642 work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socio-demographics, 5 health-related behavior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regular meal, and sleep disorder), and 27 items of occupational stres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In univariate analyses, regular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monthly income, religion and tenure. Cigarette smok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rkers who are male, unmarried, no child, higher educated, paid higher monthly income, an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Alcohol consumption (≥2 days/week) was associated with sex(male), marital status(unmarried), no children, education(college graduated), monthly income, and working type(blue collar). 7-hour sleep was related to marital status(married), having child, and tenure (≥20 years). Regular meal, finally, was higher in workers who were married, having child, and unskilled. In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8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to health-related behaviors, organizational system, insufficient reward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of the 8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increased the risk of sleep problems (<7 hours/day), and dangerous or hazardous physical environment was associated with regular exercise and regular meal.These results suggest that occupational stress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e of health-related behaviors, although positive findings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all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not found, and play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of stress-illness relationship.
Files in This Item:
TA005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