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686

Cited 0 times in

조영제의 혈관주사시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양숙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조영제의 혈관내 주입으로 전신저혈압, 혈관확장 및 서맥등의 부작용이 빈발함이 보고

되었으며 그 기전으로서는 미주신경의 관련, 삼투압 및 histamine 유리와 연관지어 설명

되고 있으나 약리학적으로는 아직 명백하지 아니하다.

본 실험에서는 이와같은 고장액 조영제의 투여로 심맥관계의 변동이 중추적으로 조절되

는지를 검색하고, 이들 변동이 조영제가 가지고 있는 강이온 및 고장성에 의해서 야기된

것인지를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조영제로서 강이온을 유리하지 않는 metrizamide의 효과도

비교하였다.

1. 조영제 2.5ml/kg을 흰쥐에 정맥주사하면 혈압 및 박동수의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at

ropine 또는 pyribenzamine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2. 조영제와 등장액인 4.7% NaCl, 24.8% 포도당, 9.0% 요소, 10.1%(v/v) 그리세롤등은

혈압하강을 나타내었으나 박동수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아니하였다.

3. 뇌척수제거 흰쥐에서 Angiografin투여로 양에 의존하는 혈압상승을 나타내는 반면

박동수는 정상 흰쥐에서보다 더 심하게 감소하였고, 이는 atropine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봉쇄되었다.

4. Metrizamide의 iodine농도를 280mg/ml로 맞춘뒤 뇌척수제거 흰쥐에 정주하면 혈압은

증가하고, 박동수는 감소되나 Angiografin에 비해 훨씬 미약하였다.

5. 흰쥐 후지 관류실험으로 조영제는 norepinephrine과는 달리 관류압의 증가와 더불어

관류량의 증가를 보였다.

이상으로 보아 조영제에 의한 혈압하강은 중추적으로 야기되었으며 이는 hyperosmolali

ty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고, 심박동수의 감소는 부교감신경 말단의 흥분 및 심장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The Study of Cardiovascular Changes by Intravascular Injection of Contrast Media



Yang Sook Ki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ng Yoon Park, M.D.)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contrast media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So in this study, pithed rat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alteration in cardiovascular system by contrast media was controlled centrally.

Futhermore, several hypertonic solutions were used to clarify the effect of

contrast med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travenous injection of contrast media in rats (2.5 ml/kg) caused hypotension

and bradycardia. The effects were neither blocked by pretreatment of atropine nor

pyribenzamine+atropine.

2. NaCl 4.7%, dextrose 24.8%, urea 9.0% and glycerol 10.1%(v/v) which were

equiosmolar with contrast media, caused hypotension, but did not affect the heart

rate.

3. In pithed rats, intravascular injection of Angiografin increased blood

pressure in a dose-depnedent manner and caused decrease in heart rate, which was

partially blocked by atropine.

4. Metrizamide of which iodine content was adjusted to 280mg/ml caused increase

in blood pressure when injected intravenously in pithed rats with little effect on

heart rate.

5. When perfused with Angiografin in rat hindlimb at 15ml/min/kg speed, both

perfusion pressure and flow effluent were increased, simultaneous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otension is caused by the central effect due to

hyperosmolality of contrast media and bradycardia caused by both parasympathetic

stimulation and direct inhibitory action on the cardiac conductive system of

contrast medi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52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58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