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561

Cited 0 times in

마우스 복강거식세포의 플라스틱 부착시간에 따른 생물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Authors
 강영수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거식세포는 모든 척추동물의 여러 장기내에 존재하며 숙주에 들어온 각종 이물질(Non-s

elf substance)은 물론 손상된 숙주세포를 제거하고 숙주 면역기전의 발현전후에 필수적

임무를 맡고있다. 그간 거식세포의 분류는 숙주조직내 존재하는 장기에 따라 분류되었으

며 그 기능도 각 장기의 역할에 연관되어 해석되어 왔다.

이들 거식세포의 기능이 비특이적 및 특이적 숙주방어기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

당하고 있음이 밟혀짐과 동시에 그 기능 또한 다양한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거식세포의 기능에 따른 분류, 특히 동일한 부위나 장기에서 추출된 거식세포의 집단의

기능 혹은 활성화 여부에 따른 분류는 지극히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시도하기 위하여 Fi

coll/hypague나 알부민 등을 이용하여 분리 시도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식세포를 시험관내 부착시간에 따라 몇개 군으로 분류하여 각군

간 기능적 차이를 lymphokine에 대한 반응, candida균의 탐식능력, Fc수용체의 활성도 및

종양세포(S-180 YS)에 대한 세포독성을 비교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마우스 복강거식세포를 배양시간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부착능력에 따라 분류한 바,

총 복강추출세포 가운데 10분이내 49%, 10분에서 1시간사이 15%, 1시간에서 3시간사이 5

%가 부착하였으며, 3시간까지의 부착되는 복강거식세포는 총 복강세포의 69%였다.

2. 플라스틱 표면 부착시간에 따라 분류한 복강거식세포의 candida군 탐식능력은 10분

내 부착거식세포군에서 17.7%, 10분에서 1시간사이에 부착 거식세포군에서 20%, 1시간에

시 3시간사이에 부착 거식세포군에서 4.3%였으며 1시간에서 3시간사이 부착 거식세포만이

lymphokine을 처리하였을 때 candida균 탐식능이 12.5%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함

을 관찰하였다.

3. 복강 거식세포표면 Fc수용체 활성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감작면양 적혈구에 의한 EA

rosette 형성율을 관찰한 바, 1시간에서 3시간사이에 부착한 거식세포군에서는 EA rosett

e형성율이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lymphokine처리에 의하여 증가함을 보였

다.

4. S-180 YS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10분내 부착 거식세포군에서 20.5%, 10분에서

1시간사이에 부착 거식세포군에서 14.5%, 1시간에서 3시간사이에 부착 거식세포군에서 7

%였으며, 각군을 lymphokine으로 처리하였을 때 1시간에서 3시간사이에 부착 거식세포군

에서만 27.5%로 증가됨을 보였다.

이와같은 사실은 거식세포의 활성화 여부가 플라스틱용기 표면 부착속도를 좌우하며,

시험관내에서 1시간이내에 부착된 세포는 이미 활성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lymphokine에

의한 부가적 활성화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늦게 부착되는 복강거식 세포는 lymphokine에

의한 활성화에 의하여 복강거식세포의 균탐식, rosette형성율 및 세포독성이 증가한 것

으로 생각된다.





Biologic Characteristics of Mouse Peritoneal Macrophage Subpopulation Grouped by

Plastic Adherance Time



Young Soo Ka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oo Duck Kim, M.D.)



Macrophag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ells in host defense against invading

organisms and damaged self constituent of the host origin. The cells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body and histologically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 by

their location. However, classification of the cells by their function are remained

unclear despite of the fact that their diversity in biological activities have been

fairly well studied. Ficoll-hypaque and albumine were employed to subgroup the

cells and related those cells to their specific activities.

In this study, it was attempt to subgroup the cells by use of the time

differences in adherance of the cells onto substrates in vitro. The subgrouped

cells by this way were comparatively studied for their biological activities in

vitro and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Almost half of the macrophages(49%) attached onto plastic surface(group Ⅰ)

within 10 minites after in vitro explantation. Rest were the cells attached in

between 10 to 60 minites of following explant(group Ⅱ). Thus, within 3 hours, only

5 percent of the cells were found to be attatched cells (group Ⅲ)

2. When the phagocytic activities of the cells upon Candida albicans were

compared, the cells in group Ⅱ expressed the highest activities(20%) and the

result was not much varied from that of group Ⅰ (17.7%). Although cells in group

Ⅲ were found to be very poor in phagocytosis(4.3%), these cells were the only

cells which could be stimulated by extragenous lymphokine. The enhanced percent of

phagocytic activity was 12.5%.

3. The differences in Fc-receptor mediated rosette formation rates in group Ⅲ

were lower and slight increase were noticed also in the same group Ⅲ cells by

lymphokine treatment.

4. Tumor cell(S-180 YS) cytotoxicity of group Ⅰ cells was the highest(20%),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 from group Ⅱ (14.5%) and group Ⅲ(7%). Again,

lymphokine induced enhancement in only tumorcidal activites were recognized by

group Ⅲ cells(27.5%).

Thus, it was concluded that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uld be grouped by

their difference in attachment time onto plastic surface following in vitro

explantation.

The difference in responses to in vitro treated lymphokine might reflect the

stage of the cells due to previous stimulation.

The responders, group Ⅲ cells, to lymphokine treatment may be considered as the

cells were not fully matured or not activated in vivo.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46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5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