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48

Cited 0 times in

정상 성인의 위주위 지방층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의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승운-
dc.date.accessioned2015-12-24T09:19:30Z-
dc.date.available2015-12-24T09:19:30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8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근래 위암의 수술전 병기결정을 위한 비침해적인 방법으로 전산화 단층촬영이 각광을 받고 있고 그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위암의 절제가능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존의 시험 개복술을 대체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산화 단층촬영에 의한 위암의 병기판정의 유용성에 관하여 다소 회 의적인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위주위 장기의 암침윤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의 정확도가 보고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위암의 전산촤 단층촬영 소견상 위주위 장기의 침윤은 위병변과 인접 장기간 의 지방층리 소실유무로 판단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정상대조군의 연구를 통해 그 신빙 성을 재고해 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정상성인 100예에 대한 위 주위 지방층의 소실유무를 관찰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위암환자의 수술전 전산화 단층촬영의 소견장 위주인 지방층의 소실만으로 인접 장기의 암침윤의 판정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제 3세대인 Hitachi W400 전산화 단층촬영기기를 이용하여 관습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했던 성인환자중 위주위가 정상으로 판정되었던 100예 의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을 역행성 방법으로 간, 췌장, 비장, 위간 인대, 위대장 인대및 위비장 인대와 위사이의 지방층의 소실유무를 관찰하였고, 췌장과 비장에서는 소실길이를 계측하여 평균치를 구하였으며, 피하지방층의 두께의 차이에 따를 소실율의 유의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위주위 .지방층의 소실은 간의 경우 97예(97%), 췌장두부 30예(30%), 췌장체 부 31예(31%), 비장 39예(39%)로 높은 소신율을 보였으며, 췌장미부 11예(11%), 위간 인 대와 위대장 인대는 각각 9예로 약 9%정도의 낮은 소실율을 보였고, 위비장 인대는 5예(5 %)로 가장 낮은 소실율을 보였다. 소실된 평균 길이는 2.4∼3.4cm 이었으며, 췌장체부와 비장의 경우가 췌장두부및 미부보 다 소실된 길이가 더 길었다. 피하지방층의 평균두께는 1.16±0.62cm이었으며, 췌장두부와 비장의 경우 피하지방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소실율이 높았으나(p<0.05), 췌장체부및 미부에서는 피하지방층의 두께 에 따른 소실율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정상성인에서 위주위 지방층의 소실율이 의외로 높았으며, 따라서 위암환자 의 전산화 단층촬영의 소견상 위주위 지방층의 소실만으로 주위장기로의 암침윤을 판정하 는 것은 위양성이 될 가능성이 높아 그 신빙성이 위심스럽다고 할수 있겠다. 위주위 조직들인 위간 인대, 위비장 인대및 위대장 인대는 낮은 지방층의 소실을 보여, 이들 조직들에 대한 위주위 지방층의 소실은 암침윤의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췌장두부및 비장에서는, 위암의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상 피하지방층이 두꺼운 환자에서 췌장두부및 비장과 위사이의 지방층이 소실된 경우, 여윈 환자에 비해 암침윤이 있을 가 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CT Analysis of Perigastric Fat in Normal Adults Seung Woon Cho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 Keun Oh) Computed tomography(CT) has been regarded as highly useful non-invasive study for stanging of gastric carcinoma, and has been advocated by some authors as an alternative to celioltomy for predicting resectability of gastric carcinoma Recently however, reported results comparing preoperative CT with surgical findings of gastric carcinoma are rather disappointing, and the ability of CT in correct staging was questioned, especially on the accuracy of perigastric invasion. The chiterion used for evidence if direct invasion on CT scans was lack of a fat plane between the gastric mass and an adjacent organ. Because of high false positive rate in CT evaluation of perigastric invasion it may necessitate normal control study of CT findings about perigastric fat as to evaluate usefulness of the criterion. Therefore, the author analysed abdominal CT findings of the 100 normal adults (including the patients with insignificant disease processe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perigastric organs) in regard to whether they actually would visualize the perigastric fat planes distinctly or no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regard to adjacent organs, the rate of obliteration of perigastric fat revealed over 30% except pancreatic tail(11%), with the results were 97% in liver, 39% in spleen, 31% in pancreatic body, and 30% in pancreatic head. 2. In regard to perigastric tissues, the rate of obiiteration of perigastric fat showed no more than ]0% such as 9.6% in gastrocolic ligament, 9.1% in gastrohepatic ligament, and 5.1% in gastrosplenic ligament. 3. The more the thickness of subcutaneous fat, the lower the rate of obliteration of perigastric fat in pancreatic head and splee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In summary, loss of perigastric fat on CT scans as the criterion of invasion of adjacent organs in gastric carcinoma seems to be unreliable because of highly possible false positive rate, although obliteration of fat planes in perigastric ligaments may be safe as indicator of malignant invasion in gastric carcinoma. In pancreatic head and spleen, lack of perigastric fat. on CT scans of gastric carcinoma in spite of obesity may suggest malignant invas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상 성인의 위주위 지방층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의 분석-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2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Seung Wo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