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원발성 담낭암 및 간외담도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이태성 | - |
| dc.date.accessioned | 2015-12-24T09:18:22Z | - |
| dc.date.available | 2015-12-24T09:18:22Z | - |
| dc.date.issued | 1983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38 | - |
| dc.description | 의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영문] [한글] 원발성 담낭 및 간외담도 암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일단 진단이 성립되었을 때는 대 개의 경우 많이 진행이 된 경우이어서 치료성적도 아주 나쁘다. 다행히 최근에는 여러가 지의 발달된 진단 방법으로 비교적 진단이 용이하여짐에 따라 수술적 절제율도 좋아지는 경향이다. 저자는 1964년부터 1980년까지 만 17년간 전주 예수 병원 외과에서 경험한 52예의 원발 성 간외담도암과 41예의 원발성 담낭암에 대한 임상기록을 분류하고 그 성적을 검토 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발성 담낭암의 발생빈도는 간외담도암에 비하여 적었으며, 성별빈도는 담낭암이 여자가 남자보다 2.4배 많았고, 반대로 담도 암은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많았다. 2) 담낭암의 호발연령은 50대와 60대인데 비하여 간외담도암은 40대와 50대이었다. 3) 대부분의 환자들이 임상증세로서 황달, 상복부통증, 체중감소 및 복부종괴를 나타냈 으며, 병력기간은 1개월부터 4개월까지가 대부분 이었다. 과반수의 환자들은 주증상이 나 타나기전 4개월에서 6개월 이전부터 상복부 불쾌감 및 경미한 통증, 또는 만성적 소화장 애를 가지고 있었다. 4) 대부분이 간기능 검사에서 폐쇄성 간기능장애를 나타냈으며 여러 가지 X -선 검사중 경괴간담도조영술이 뚜렷한 병변을 나타낼 수 있었다. 5) 담낭암은 모두가 절제가 불가능한 상태이었으며 간외담도암에서도 23%만이 치료목적 으로 절제가 가능하였다. 즉 담낭암은 100%에서, 간외담도암은 84.3%에서 주로 간이나 임 파조직에 전이되어 있었다. 그 외 췌장, 십이지장, 대장, 복막 및 대망등에 전이되어 있 었다. 6) Adenocarcinoma가 대부분 이었고 papillary carcinoma, mucinous carcinoma, undiff erentiated carcinoma, anaplastic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가 간혹 있었다. 7) 수술후 평균생존기간은 담낭암이 5.9개월, 상부담도암이 2.9개월, 중간부담도암이 6 .1개월, 하부담도암이 22.9개월, 광범위담도 암이 1.1개월 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담낭암과 간외담도암이 조기에 발견되도록 임상증상을 예리하게 관찰하고 최근 개발된 진단법들을 합리적이고 다각적으로 이용하고 새로운 진단법의 개발 을 추진해야 하며, 특히 담석증과 같은 질환이 의심될때는 철저한 검사와 적절한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진단된 암에 대해서는 다양한 치료방법을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적용하 여야만 암을 치료할 수 있고 만일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고식적인 담즙배액술을 시행 하므로써 수명연장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Primary Carcinoma of the Gallbladder and Extrahepatic bile Duct Tae Sung Lee,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on Kyu Kim, M.D.)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41 patients with primary carcinoma of the gallbladder and 52 patients with primary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diagnosed by surgery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of the Jeonju Presbyterian Medical Center during the 17-year period from 1964 to 19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Carcinoma of the gallbladder predominated in females . and it's peak age of incidence is in the fifth and sixth decades(70.7%)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males, and it's peak age of incidence is in the fourth and fifth decades (63.5%) 2) Most patients had clinical manifestations of jaundice, upper abdominal pain, weight loss and abdominal mass for one to four months before admission, Half of the patients complained of mild epigastric pain or discomfort or chronic indigestion for four to six months previous to the development of the chief complaints . 3) The laboratory data revealed obstructive i aundice in mostpatients. The X-ray studys particularly the p.T.C. was help-ful to suspect the malignancy. 4) All the gallbladder cancers were unresectable. Curable resection was carried out 23% of extrahepatic bile duct concers. Metastasis, mainly to the liver and regionallymphatic tissue, occurred in 100% of the gallbladder cancers and 84.3%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The pancreas, ducdenum, colon, peritoneum and omentum were occasionally invaded. 5) The adenocarcinoma was most common and the papillary type, mucinous type, undifferentiated cancer, anaplastic cancer, and squamous cell cancer were present in a few cases. 6) The duration of survival after surgery of the gallbladder cancer was from 1 month to 17 months (average 5.9 months) ; of the proximal bile duct, an average of 2.9 months: of the middle duct cancer, 6.1 months; of the lower bile duct cancer, 22.9 months; and of the extensive bile duct cancer, 1.1 month. The patients wine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survived average 26 months. Conclusively it can be stated that early diagnosis is the key to have long-term survival . To do so whenever gall stone disease is suspected, complete work-up and prompt surgical removal of gall bladder is strongly suggested.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cancer of extrahepatic bile duct. Even it is not resectable, some kind of palliative biliary-entero by-pass procedure is certainly recommended.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restrictio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원발성 담낭암 및 간외담도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 - |
| dc.title.alternative | Prumary Carcinoma of the Gallbladder and Extrahepatic Bile Duct | - |
| dc.type | Thesis | - |
| dc.identifier.url |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141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Tae Sung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