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76

Cited 0 times in

과배란 유도 성숙 난포액 내의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GFBP-3), growth hormone (GH) 및 estradiol (E2)과의 상호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용주-
dc.date.accessioned2015-12-24T09:17:47Z-
dc.date.available2015-12-24T09:17:47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1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최근 난포내에서도 GH과 IGF-I, IGFBP-3 등 여러 paracrine (측분비적) 조절인자의 생 성 및 작용이 밝혀져있다. Granulosa cell과 theca cell은 모두 IGF-I (Insulin-like gro wth factor-I) 과 IGF-II (Insulin-like growth factor-II)를 생산하는 한편, 난소에서 생성된IGFBP(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는 IGF와 결합하여 free IGF의 농도를 결정, 난포의 성장과 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혈청 IGF의 주 요 생산 결정 인자인 GH은 ovarian response를 호전시키는 것으로 기대되어 과배란 유도 에 이용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배란유도한 난포액에서 성숙한 양질의 난자 생성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 려지고 있는 GH, IGF-I, IGFBP-3 및 estradiol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각각 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1992년 3월 1일부터 1995년 7월 30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 불임 클리닉에 불임을 주소로 내원하여 과배란 유도 프로그램 시행 후 체외 수정을 시도 하였던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불임의 원인 중 난소요인에 의한 것은 제외하였 다. 난포액은 각각의 환자에서 16mm이상 되는 성숙한 난포들을 질식 초음파 유도 하에 난 포를 흡입 채취하였으며 즉시 해부 현미경 하에 난자를 분리한 후 이중 혈액이 섞이지 않 은 난포액은 2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을 모아 검사시기까지 -70℃로 냉동보관 후 해동시켜 growth hormone, IGF-I, IGFBP-3, estradiol(E^^2)을 RIA 및 IRM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난포액내 GH 농도와 난포액내 IGF-I 농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 s=0.4740, p=0.003), 난포액내 IGFBP-3 농도와는 상관관계를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난포액내 IGF-I 농도와 난포액내 IGFBP-3농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s=0.6428, p<0.001). 한편 난포액내 IGF-I, IGFBP-3 및 GH 농도는 각각 난포액내 estradiol농도와 상관관계 는 없었으며, 난포액내 IGF-I, IGFBP-3 및 GH농도와 혈중 estradiol 농도도 역시 상관관 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난포액내 GH는 IGF-I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나 IGFBP-3는 GH에 직접 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IGFBP-3는 IGF-I에 의하여 생성이 촉진되 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GF-I, IGFBP-3 및 GH은 난포액내 혹은 혈중의 estradiol농도 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들이 steroidogenesis에 관여하는 데에는 다른 조절 인자 및 복잡한 작용 기전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rrelations amongst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IGFBP-3), growth hormone (GH) and estradiol(E^^2) in follicular fluid or serum of the patients with ovulation induction Yong Joo Lee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n Ho Song) Recently, the ovary is known to be a center of paracrine and autocrine regulating factors. IGF-I is a local regulator of follicular function and a potent stimulator of ovaria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ynergy with the gonadotrophins, whilst GH may exert its effect by changing intra-ovarian IGF-I concentration. In biological fluids, IGFs are bound to specific, high affinity binding proteins (IGFBP). The IGFBPs are considered as paracrine modulators of the action of IGF-I in the ova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lationships amongst IGF-I, IGFBP-3, GH and estradiol in mature follicular fluids or serum. Thirty-six infertility patients who underwent ovulation induction program by GnRH agonist short or long protocol for in vitro fertilization(IVF)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st the concentration of IGF-I, IGFBP-3, GH and estradiol in follicular fluid or serum. These hormone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radioimmunoassay(RIA) or Immunoradiometric assay(IRM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IGF-I and GH, IGFEP-3 in follicular fluid. Therefore, GH tends to increase IGF-I levels in follicular fluid and IGF-I may functions as an important regulator of IGFBP-3 synthesis in follicular fluid, but IGFBP-3 is not likely to b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GH in follicular flui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과배란 유도 성숙 난포액 내의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GFBP-3), growth hormone (GH) 및 estradiol (E2)과의 상호관계-
dc.title.alternativeCorrelations amongst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GFBP-3), growth hormone (GH) and estradiol (E2) in follicular fluid or serum of the patients with ovulation inductio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4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ong J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