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1118

Cited 0 times in

측두엽 간질환자에서 측두엽 절제술 전후의 신경심리검사의 변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무-
dc.date.accessioned2015-12-24T09:17:22Z-
dc.date.available2015-12-24T09:17:2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9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난치성 간질 환자에서 인지 기능이 감소되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왔으며 이는 주 로 측두엽 간질 환자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많 지 않기에 연구자는 측두엽 간질 환자에서 측두엽 절제술 전후의 인지기능 변화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2년 3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찰 부속 세 브란스 병원에서 전방 측두엽 절제술을 실시하였으며 수술 전에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고 수술 후 외래에서 1년 이상 추적관찰 한 후에 재검사를 실시한 25명(남자 18명, 여자 7 명)의 환자들 이었다. 신경심리검사의 항목은 지능검사, Bender-Gestalt 검사(BGT), Luri a-Nebraska 신경심리검사 였으며 수술 전과 후에 관찰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후에 시행한 지능검사에서는 수술 전에 비해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및 전 체 지능의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며 좌측 측두엽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서는 전체 지 능만이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 우측에서는 동작성 지능만이 유의한 호전을 나타냈다. 2. Bender-Gestalt 검사에서는 수술전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수술 부위에 따른 비교에서도 좌측과 우측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3.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에서도 수술 전과 수술 후의 비교 및 수술부위에 따른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서 난치성 간질 환자에서 시행되는 측두엽 절제술은 간질의 치료 뿐만 아 니라 인지기능의 호전도 초래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관찰된 인지기능의 호전이 발작의 호전에 기인한 것이라는 가설은 수술 후 발작의 호전이 없었던 환자가 2명 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증명할 수 없었다. Bender-Gestalt 검사는 측두엽 절제술 후에 관찰되는 기억력의 검사로는 적합치 못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Neurppsych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temporal lobectomy in temporal lobe epilepsy Sang Moo Lee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Byung In Lee) The changes of cognitive functions after epilepsy surgery have not been undertaken in Korea yet. We investigated the neuropsych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temporal lobectomy in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 Twenty-five patients(male 18, female 7) who undergone anterior temporal lobectomy from Mar 1992 to May 1996 at Yonsei Universitiy Severance Hospital were included to the study. The batter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consisted of Korean Weschler Intelligence Scale(KWAIS), Bender-Gestalt test and Luria-Nebraska neuropsychological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all patients, the verbal, performance and full scale IQ were impoved significantly during the postoperative state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With respect to the side of operation, only full scale IQ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cases of the left temporal lobectomy, and only performance IQ was improved in the right temporal lebectomy.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with Bender-Gestalt test in the postoperative state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Also no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emporal lobectomies. 3. Although improving tendency was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with Luria-Nebraska neuropsychological test during the postoperative state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st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mporal lobectomy improves not only the seizure control but also the intelligence of the patients with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Because only 2 patients did not improve in their seizure control after the surgery, we oould not further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seizure outcome and the changes of intelligence scores after the surgery. For more accurate detection of the memory changes after the temporal lobectomy, the use of additional memory tests may be required in the future studi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측두엽 간질환자에서 측두엽 절제술 전후의 신경심리검사의 변화-
dc.title.alternativeNeuropsych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temporal lobectomy in temporal lobe epileps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4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ang M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