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91

Cited 0 times in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에서 생성된 종양괴사인자의 시간에 따른 활성도의 변화 : 수용성 종양괴사인자 수용체와의 관계

Other Titles
 Changes in the activity of TNF-α produced by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relation with soluble TNF-α receptors 
Authors
 오범진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종양괴사인자(TNF-a)는 강력한 염증반응 유발 싸이토카인이며, 수용성 종양괴사인자 수

용체(sTNFRs)는 TNF-α의 작용을 길항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지금까지 TNF

-a의 생성원인과 역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TNF-α의 시간애 따른 활성도

의 감소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저자는 TNF-α의 활성도 감소와 sTNFRs의 농도 변화의 관계를 마우스의 복강대식세

포를 이용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LPS 자극 후 TNF-α의 생성은 1ng이상의 농도로 자극

하였을 때 생성이 급격히 증가함을 보였고, 6시간에 최고치를 보이고 그 후 감소하여 24

시간 이후부터는 TNF-α가 측정되지 않았다. TNF-α는 37℃에서는 36시간까지 안정하였으

나,40℃의 열처리 후 6시간이전에 활성도가 감소되었고 63℃ 열처리 후 10분내 급격한 활

성도의 강소를 보였다. 9차례까지의 반복적인 얼림과 녹임 조작에 의해서는 활성도가 변

하지 않았다. sTNFRs의 분비는 LPS자극 직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18시간에 최고치를 보였

고, 36시간까지 계속적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sTNFR1은 sTNFR2에 비해 매우 낮은 농도의

분비양상을 보였다. TNF-a의 생성은 sTNFRs의 분비보다 늦게 증가되기 시작하여 sTNFRs

분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LPS의 자극에 의해 마우스 복강대식

세포로부터의 시간에 따른 TNF-α의 생성감소는 TNF-α의 물리적 불안정성에 기인하지 않

았으며, 분비 증가된 sTNFRs가 TNF-α의 활성을 중화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였

다.





Changes in the activity of TNF-α produced by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relation with soluble TNF-α receptors-



Bum Jin Oh

Dept. of Microbiology, THe Gra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Associated Professor Joo Young Park)



Tumor necrosis factor(TNF-α) is one of the most potent cytokines involved in the

immune and pro-inflammatory response. The soluble TNF receptors (sTNFR1, sTNFR2)

bind with TNF-α and mediate the anti-inflammatory response. Until now, most

studies focused on the production and function of TNF-a. However, the mechanisms

behind the time-related decrease in TNF-α production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have not yet been determin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y of the TNF-α produced by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and

soluble TNF-α receptors was investigated. The relative activity of TNF-α markedly

decreased at 40℃, within 10 minutes after heat treaeent. At 37℃ however, the

activities remained stable for 30 hours. Neither did up to nine consecutive cycles

of freezing and melting make any changes in the relative activity of TNF-α. Volume

equal to and greater than 1ng of LPS markedly increased TNF-α production. Which

peaked at 6 hours after LPS stimulation and decreased thereafter for 18-22 hours.

The concentration of sTNFRs peaked at 18 hours after stimulation after which time

high levels were sustained for 36 hour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NF-α activity is stable under the range

of normal physiologic thermal conditions, and the decreasing activity of TNF-α

might be influenced by secreted sTNFR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4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