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434

Cited 0 times in

서울 시내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약품 종류별 사용과 관련된 요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drug use of some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uthors
 서희원 
Issue Date
1992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이 연구는 일부 인문계 남자 고등학교 학생들의 약물 사용 행동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약물 남용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청소년 보건교육 자료의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한

단면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을 시내에 위치하는 인문계 고등학교 남학생 306명이었다.

비마약성 습관성 약물의 일종인 진통제, 신경안정제, 수면제, 각성재, 담배등 5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들을 흡연군과 진통제 사용군 그리고 진통의외 약물 사용군등 3군으로 나

누어 이들 3군의 약물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 사항을 분석하고, 세가지 약물 사용군과 관

련된 위험 요인을 각각 파악하였다.

분석에는 Multiple logistic model의 설정에 들어 갈 변수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Chi-sq

uare test를, 비차비(odds ratio)의 계산을 위해서는 Multiple logistic model 분석 방법

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음주를 하는 학생들과, 진통제 외의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

생들에 비하여 조비차비 10.5, 3.2로 비교적 흡연을 하는 경향이 높았다(p<0,05). 그리고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도 성적이 좋은 학생들에 비하여 흡연을 하는 경향이 비교적 높았

다(조비차비 2.7, p<0.05). 그러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음주를 하는 학생들과,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흡연하는 비차비가 각각 6.4, 1.7이었

다(p<0.001).

2. 성적이 저조한 학생군은 진통제를 제외한 약물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

다(조비차비 2.5, p<0.05). 그리고 흡연을 하는 학생과(조비차비 3.2, p<0.05), 음주를

하는 학생(조비차비 3.7, p<0,05), 그리고 진통제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진통제 외의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다(조비차비2.5, p<0.05). 그러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에서는 진통제 외 약물의 사용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은 없었다.

3. 진통제 외의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군은 사용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진통제를 사용

하는 경우가 많아서 조비차비가 2.5이었다(p<0.05). 그리고 음주를 하는 학생은 진통제의

사용률이 높았다(조비차비 1.6, p>0.05). 그러나 혼란 변수들을 통제하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진통제 사용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진통제의 사용은 다른 약물이나 흡연과는 달리 통증의 완화나

치료의 목적으로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고 일반적인 특성과 연관되어 차이 있게 사용되

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을 할 수 있다.

흡연의 경우는 성적이 나쁜 학생들과, 음주를 하고 있는 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비차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일반 학교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예방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금연에 관한

것 외에도 비마약성 습관성 약물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되며

이 분야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drug use of some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Heewon, Su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eechoul Oh, M.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factors related to drug us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Non-narcotic habit-forming drugs such as analgesics,

tranquilizers, sedatives and cigarettes were drugs which the author has been

concerned.

Behavior and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drug use were collected from 306

students in a high school by pretested questionnaires.

Risk factors and general information of three groups, analgesics users' group,

tranquilizers or sedatives users' group, and smoking group-were analyzed, and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were tried to corrobo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screened by chi-square test, which were

entered to the multiple logistic model to calculate the odds ratios for risk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raw odds ratios of the drinking group to smoke was 10.5 and these of the

tranquilizers or sedatives users' group, and students with lower marks were

3.2(p<0.05) and 2.7(p<0.05) respectively.

In logistic model analyses odds ratios for drinking and lower marks to smoke were

estimated to be 6.4(p<0.001) and 1.7(p<0.001), hower.

2) No risk factors studied here were calculated to be related with use of

tranquilizers or sedatives in logistic model analyses(p>0.05).

3) Although the raw odds ratio of the tranquilizers or sedatives use to indulge

in analgesics was 2.5(p<0.05) in univariate analysis, it turned out to be not

significant one in logistic model analyses odds ratio 1.6(p>0.05).

To sum up above results, although smoking was found to have some apparent risk

factors, use of analgesics and use of tranquilizers or sedatives had no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isk factors or related behavior are so different

among these three groups, that we can not approach in a similar way in helping them

out of drug u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80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0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