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520

Cited 0 times in

산업보건정보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 보건관리대행기관에 대하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Authors
 민혜영 
Issue Date
1993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산업보건정보시스템 사업장 근로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신속한 행정직 의사결정의 관리

수단으로 이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계속적인 보건부문의 연구와 교육에도 산업보건정

보시스템이 크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정보시스템의 적용은 그 중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아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연구방법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스템개발수명주기(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를 택하였다.

연구절차는 전략계획수립, 시스템분석, 시스템설계, 시스템평가의 단계를 갖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보건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계획수립에서는 1단계로 도든 스템구축의

기본이 되는 사업장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2단계로는 건강관리 시스템과 작업장 환경관

리시스템을 각각 개발한 후 이를 기초로 통합하여 근로자 보건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구축을 한다. 3단계로는 이들 구축된 건강관리, 직업환경관리, 보건관리 등 3

개의 정보시스템을 통합하여 청구결산시스템과 통합통계처리시스템으로 연계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둘째, 전략계획에서 언급된 업무의 우선순위에 따라 건강관리부, 산업위생부, 보건관리

부의 세 부서의 업무에 대하여 자료흐름도 및 서식분석표 등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셋째, 시스템설계에서는 전산화 대상업무에 대하여 개념적인 설계는 HIPO와 데이터베이

스 설계, 시스템흐름도, 통신망설계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넷째, 시스템 평가에 있어서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위험감소 전략을 세웠다.

또한 산업보건정보시스템이 확대되기 위하여 고려되어져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위험요

인으로는 전산화 업무를 과외의 업무로 여기고,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표준화부문이

많고, 비용부족 등의 행정적 지원의 부족, 전산화에 대한 인식부족 등을 들 수 있으며 위

험감소전략으로는 실무자와 담당 부서의 책임자를 개발과정에 적극 참여시키고, 교육을

통해 컴퓨터와 친숙하게 하며, 실제 개발된 시스템이 업무수행단계를 축소시켜야 하며,

행정업무의 표준화와 더불어 보고서식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전산으로 출력된 양

식이 실제 보고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행정적인 조치 등의 실시 전략으로 위험요

인을 감소시켜야 한다.

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시스템의 세부적인 설계를 개발하고 개발된 정보체계에 대한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 For Health Management Agency -



Min, Hea Young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e, Young Moon, Ph.D.)



Objectives of Occup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are to help manage

employee's health and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managers.

Occup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can also be utilized in a continuous study

and education in this field.

While an importance of occup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is realized, a

research in this area has not bear actively carried out at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the OGIS System Develpment

Life Cycle method system which consists of desgin, and strategic plans, analysis

systems, implementation system.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rategic plans for Occupational Health Information System is divided into

the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employee's health management for measurement of workplace. In the second stage, the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and envirenment management are developed and

integrated with the system that contains the program for employee's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third stage,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and work's

environment management and health management are integrated and also interfaced

with a system for accounting system and statistical processing system.

Second,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work in the strategic plans, the health

management department, Occupational hygine department administrative department

were analysed using structurd system analysis methods such as Data Flow Diagram.

Third, in the system design, conceptual design for the system was performed using

HIPO. Database design, Dataase design, System Folw Chart, and network design.

Forth. in the system evaluation, the risk factors were analysed and their

corresponding risk-reduc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The risk factors :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standardization,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budgets. The risk-reducing strategies were actively participate managers into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rain users, and develop system in such a way reduce

workload and standize a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report forms.

In the future, a more comprehensive and datailed design for the system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performance as well as economic benefits of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evaluated quantitativel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5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2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