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42

Cited 0 times in

일부도시 저소득 방문간호사업 대상가족의 주요건강문제 및 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mily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Problems of Urban Low Income Families Requiring Visiting Health Care 
Authors
 김영자 
Issue Date
1992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본 연구는 저소득 방문간호사업 대상 가족의 주요 건강 문제와 그 실태를 가족을 중심

으로 파악한 건강문제 기초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저소득 방문간호사업 대상 가족의 건강 문제와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그

대상 가족들에게 필요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방문 간호사업 기획에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보고 본 연구를 시도 하였다.

연구 대상은 S구 영세 지역 3개동 저소득 방문간호사업 대상 가족 326세대 전수를 대상

으로 하였으나 면접 조사가 가능했던 총 128 가구가 자료 분석에 사용 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가족 건강 측정을 위한 설문지로 1990년 비슷한 영세 지역저소득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김의숙의 건강문제 기초 조사(survey)에서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참조하

여 본 연구 내용에 맞도록 수정한 것이다.

설문지 내용은 가구원 조사, 환경 상태, 가정내 건강문제, 가족역등, 부부문제, 의료보

호, 건강 관련 행위의 내용으로 구성 되었으며 총 65문항 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수집 기간은 1992년 4월 6일 부터 5월 10일 까지 총 35일간 실시 되었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방문면접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서는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 개인단위, 부부단위 및 가구단위로 나누

어 분석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각 문항에 대해 실수와 백분율을, 건강문제는

개인 단위로 분석하여 성별 신체기관(System)별 건강문제, 사용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가족역동은 가구 단위로 분석하고 부부문제 변수는 부부단위

로 분석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으며 건강에 관련된 가정의 문제는 실수를 구하였

다.

모든 자료는 Spss로 전산 통계 처리 하였다.

본 연구조사 대상가족의 일반적 특성, 환경위생상태, 건강문제, 가족역동, 부부문제,

건강과 관련된 가정의 문제를 조사하여 파악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조사대상 가족중 면접 조사 가능한 128 가구 365명의 건강문제에서 만성건강문제를

가진 가족은 전체가구의 79.7% 였으며, 만성건강문제가 급성건강문제의 4.5배나 되었으며

, 만성질환의 56.7%가 30-50대 연령층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요 건강문제는 중년층의 만

성질환으로, 생업에 종사할 수 없게 된 이들에 대한 방문간호사업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본다.

2. 조사대상 가족구성원의 신체기관(System)별 건강문제는 급성건강문제로는 호흡기계

가 44.4%로 가장 많았으며 만성건강문제로는 근 골격계 23.9%, 순환기계 19.6%, 소화기계

11.0%, 호흡기계 8.0%, 손상 및 중독이 7.4%의 순으로 많았다. 평균 유병기간은 7.4년

으로 나타나, 근 골격계질환과 순환계질환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

자가 많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방문진료 방문간호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3. 의료이용 상태는 급성 건강문제의 경우 병의원, 약국이용(70.0%)으로 해결 하였으나

, 만성 건강문제의 경우 초기에는 주로 병·의원을 이용(55.2%) 했으나 나중에 치료처를

변경 하거나(20.7%) 현재는 치료 받고 있지 않은 경우가 23.4%으로 나타나, 치료 효과가

뚜렷하지 않음으로 증상처리만 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의료이용상 문제는 2,3차 전문의료

기관의 접근이 용이 하지않아 인근 의원이나 약국이용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근본적인 치

료가 늦어지고 있다고 본다.

4. 가족역동 및 가정문제에 있어서 가사운영의 결정은 대부분 부인이 하고 있는것(47 4

%)으로 나타났는데, 가사운영이 단순하고 남편의 수입이 낮기 때문이라고 본다. 친척과의

왕래는 큰일때만 있고(47.7%)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은 적은편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42

.8%) 가정내에 불화를 일으키는 내용은 건강상의 문제(40.4%)와 경제적인 문제(37.4%)가

대부분이었다. 가족 결속력이 약하다고 보며 지역사회 주민의 관심이 요구 된다고 본다.

5. 부부문제로는 가족원에 대한 건강문제, 배우자의 생활무능력, 부부간의성격 차이의

문제가 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간의 대화시간은 제대로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54.4%). 대화 내용은 일상 생활 이야기 살림살이의 내용에 대한 것으로 조사 되었고,

자녀와의 대화 내용은 교육문제에 대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35 8%). 이혼에

대한 태도는 매우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90.2%),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자활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6. 건강과 관련된 가정의 문제로는 입원비 문제, 2,3차 의료기관의 치료비 문제, 건강

문제로 인한 직업 상실, 신체 장애자의 바깥 출입 문제, 자녀의 가출, 주거 공간 부족,

간병인 문제, 의료이용 정보부족, 전문의료기간의 제한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7. 본 조사대상 가족의 건강문제와 건강과 관련된 가정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안으

로 지역보건간호사의 활동 영역으로서는 보건 교육, 직접 간호 서비스 제공, 상담자 역할

, 자원활용과 의뢰 활동, 연구자 활동의 간호사업이 요구되며 정책지원 방안으로는 공공

전문의료기간의 확보, 행정체계상의 지원, 사회복지체계상의 지원, 지역사회 주민과 의료

인들의 관심과 참여로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A STUDY ON FAMILY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PROBLEMS OF URBAN LOW INCOME

FAMILIES REQUIRING VISITING HEALTH CARE



Kim, Young Ja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 Won Jung. Ph.D.)



This study was survey of family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problems of low

income families requiring visiting health car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for

visiting health care plan basic data and supply quality medical services to the

subject families.

The subject were 326 families requiring visiting health care in an urban poor

area of three blocks in S District.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for 128 families

which were surveyed for analysis. The study tool used was a questionnaire for

family health exam which was a modification tool of the health problems survey by

EuiSook, Kim which was designed in 1990 for use with the urban poo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65 items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on

family mebers, environmental conditions, families health problems, family dynamics,

husband and wife problems medicaid and health related activities.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a total of 35 days from April. 6, 1992 to May

10, 1992 and the method used was a home visiting interview using the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units; individual, couple and household.

Incidence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for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Health problems were analyzed for the individuals. Actual numbers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analyze the method of the treatment used and the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body system, and to sex. Family dynamics were analyzed for households

unit; variables regarding husband and wife problems were analyzed for couples using

actual numbers and percentages. Health related family problems were analyzed using

actual number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sanitary conditions, health problems, family

dynamics, husbands and wife problems and the health related family problems.

1. The result showed that 79.7% of the families had a meber with a chronic

disease. Chronic health problems were 4.5 times higher than acute ones, 56.7% of

the chronic diseases were found in the 30-50 age group, people who mus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e main health problems was chronic disease in the middle

aged group.

2. In the survey of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the physical system for family

mebers, chronic health problems in the muscle andskeletal system showed the

most(23.9%). The circulatory system showed next(19.6%).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a high number of mobility disabled who need visiting health care.

3. In case of utilization medical facilities, acute health problems were solved

using care in hospitals and drug stores (70.0%). But early chronic health problems

were solved mainly using care in hospitals or medical clinics(55.2%) but changing

medical facilities was frequent(20.7%) and 23.4% were not receiving treatment. They

stopped receiving care for symptoms because of the progress made under the hospital

treatment was poor.

4. Decisions of household affairs were generally made by wives (47.0%). Mainly

because the household affairs were very simple and husbands' incomes were very low.

Relatives visited for big events (47.7%). They spent few hours together as family

mebers(42.8%).

Health problems(40.4%) and economic problem were the main causes of home

troubl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family dymamics were poor.

5. The main problems between husband and wife were caused by family health

problems, incompetent spouses and differences of the character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number of hours spent in conversation between the couples were very

low(54.4%). The main subjects of the conversations were life and household affairs.

The main subject of the conversation with children was education(35.8%).

These couples' attitudes to divorce were negative(90.2%). This result showed that

these families we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had traditional

attitudes.

6. Health related family problems were hospital charges, medical fees for

secondary and tertiary class medical services, loss of job due to health problems,

physical handicapped persons' the outdoor life, children who run away from home,

lack of space in residence, caretaker's problem, lack of medical information and

limited professional medical organizations.

7. Nursing care addressing solutions to the health problems and health related

family problems should include health education, direct nuring service, the role of

counsellor, the use of resources and requiring activity, and the researcher's

activity are required.

Policy support plans, such as, increasing public professional medical

organizations, governmental help, social welfare expansion and expand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medical personnel and the local community people are

need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80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