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1411

Cited 0 times in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위치 및 크기와 주위 임프절 전이의 양상에관한 연구

Other Titles
 Mode of regional and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of bronchogenic carcinoma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size and histology of primary tumor of lung 
Authors
 김길동 
Department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흉부외과학교실)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흉곽내에서 임프의 유출경로는 Rudbeck(1653), Willis(1675),7ascagni(17()4), Sappey(

1885)등애 의해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Rouviere(1929), Borrie(1952), Nohl(1956)등에 의

해서 급격히 발전되었다 .

폐암에 있어서 종격동 임프절의 암전이 유무 및 정도는 환자의 수술적응과 예후판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임프절 전이의 양상은 폐암의 조직학적 소견, 위치, 크기에 따른

정확한 분류를 함으로써 앞으로의 폐암 수술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1980년 1월부터 1989년 7월까지 폐암으로 수술한 환자중 흉곽내 모든 임프절 절제를 동

시에 시행한 17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5례, 여자는 33례이었고 연령분포는 25

세에서 78세 사이로 평균 55.4세 이었다. 세포형별로는 상피세포암이 115례로 64,6%이었

으며 선암이 42례, 2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암의 크기에 따른 종격동 임프절 전이율의 증가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으며, 상피세포암과 선암사이에서도 종격동 입프절 전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나

타나지 않았다. 폐암의 위치별 종격동 임프절로의 전이율을 보떤 우중엽과좌상엽에서 각

각 31.8%, 31.4%블 보여 높은 전이율을 나타냈고 전체적으로 종격동 임프절로의 전이율은

25,4%이었다. 이 중 Nl임프절 전이없이 오직 N2 임프절로의 전이만 있는 경우가 전체환

자의 13%나 되었으며 상면에서는 16.3%, 하엽에서는 8.2%의 전 이율을 보여 통계학적으로

하엽에서 보다 상엽에서 N2 임프절로의 직접적인 전이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좌상엽에 암이있는경우 임프절 전이에 있어서 N2 임프절로의 전이는 대부분 좌측 상부

기관기관지 임프유출로와 좌측 기관주위 임프유출로를 따라 전이됨을 볼 수 있고 직접적

인 유출로에 의해 대동맥하의 임프절, 대동맥주위 임프절, 하부 폐인대 임프절, 식도주위

임프절로 전이 되었다. 좌하엽에 암이 있는 경우 N2 임프절로의 전이는 대부분 좌측 기

관기관지 임프유출로에 의해 전이됨을 볼수 있고 좌하엽의 지역 임프절 -> 하부 폐인대

임프절 -> 분기즐하 임프절로의 유출로를 따라 식도주위 임프절로 전이됨을 볼수 있고 직

접적인 유출로에 의해 대동맥하의 임프절로의 전이도 볼수 있다. 우상엽에 암이 있는 경

우 N2 임프절로의 전이는 대부분 우측 기관주위 임프유출로에 의해 전이되고 반대편 기관

기관지 임프절로의 전이도 1례 있었다. 우중엽에 암이 있는 경우 N2 임프절로의 전이는

대부분 우측 기관주위 임프유출로에 의해 전이되고 직접적인 유출로에 의해 식도주위 임

프절로의 전이도 있었다. 우하엽에 암이 있는 경우 N2 임프절로의 전이는 대부분 우측 기

관주위 임프유출로에 의해 전이되고 우하엽의 지역임프절 -> 하부 폐인대 임프절 -> 분기

즐하 임프절로의 유출로를 따라 하부 폐인대 임프절과 식도주위 임프절로의 전이도 있었

다.





Mode of regional and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of bronchogenic carcinoma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size and histology of primary tumor of lung



Kill Dong Ki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ung Nok Hong, M.D.)



A total 178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who had undergone complete

resection of the tumor in combination with complete mediastinal lymphadenectomy

were reviewed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80 through July

1989.

Materials: There were 45 men and 33 women ranging of age from 25 to 78 years with

a mean age of 55.4 years.

Histological types were squamous carcinoma in 115 cases (64.6%) adenocarcinoma in

42 cases (23.6%),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in 9 cases (5.1%), large cell

carcinoma in 8 cases (4.5%) and small cell carcinoma in 4 cases (2.2%).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ize of primary tumor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P=0.0567)

2. The histologic types of the primary tumor did net related to the incide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P>0.1)

3. The cha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the case with lung cancer

located in right middle lobe (31.8%, N=22) and left lower lobe (31.4%, N=32) were

the highest and the lowest was the one located in right lower lobe, while over all

incide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this series was 25.4%(N=55).

4. The rate of mediagtinal lymph node metastasis without evidence of regional

hilar lymph node metastasis was 13%.(N=23) The cha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involvement without N1 lymph node metastasis was 16.3%(N=17) in both upper lobes

and 8.2%(N=6) in both lower lobe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tumors

in the upper lobes had greater chance of the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without N1 than the tumors in the lower lobes.

5. In this series majority of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the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from the tumor in each pulmonary lobes usually occurs via

ipsilateral tracheobronchial and paratracheal lymphatic pathway. Especially the

lung cancer located in lower lobes can metastasize to subcarinal, paraesophageal

and inferior pulmonary ligamental lymph node through the lymphatic pathway of

inferior pulmonary ligament ,It can be speculated that in some cases of this series

otherwise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can also occur with direct invasion to

the parietal pleura and to the mediastinal lymph node via direct subpleural

lymphatic pathwa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9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흉부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Kil Dong(김길동)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