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891

Cited 0 times in

간질환에 있어서 혈청 총담즙산치의 임상적 의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Evalution of Serum Total Bile Acid Determination in Liver Diseases 
Authors
 김경숙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Sherlock와 Walshe가 1948년 처음으로 간질환 환자에서 총 담즙산치가 증가됨을 발표한

이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이 검사가 간질환 진단에 매우 예민함이 보고되었다. 또한

공복시 혈청보다 식후 혈청의 총담즙산치가 경증의 간질환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고 하였

다. 또한 급성 간염의 치료경과 관찰과 특히 만성 간염의 재발이나 활동성 여부를 알아내

는데 도움이 된다고도 하였다. 그러나 이 총담즙산의 측정에는 기술적 난점이 있어 지금

까지 임상에 널리 이용되지 못하였다. 최근 direct enzymatic spectrophotometric method

가 개발되어 간질환의 screening test로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 방법이 시도된바 없고 그 임상진단에의 응용가치에 관해서 검토된 바 없다. 이에 저자

는 이 방법을 도입하여 총담즙산을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이 각종 간질환에 있어서의 그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즉 1982년 11월에서 1983년 4월사이에 연세의료원에 입원한 환자중 간질환으로 확진된

66예를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들 환자군은 114회에 걸쳐 공복시와 식후 2시간의 paired

sample을 채취하였고 정상대조군은 31예를 선택하여 역시 paired sample을 채취하였다.

각 paired sample에 대하여 총담즙산을 측정함과 동시에 공복혈에 대하여는 통상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대조군 31예의 공복혈의 총담즙산치(fasting total bile acid: 이하 FBA)는 5.1

±3.0μmol/1이었고, 식후 2시간치(postprandial total bile acid: 이하 PBA)는 8.3±3.6

μmol/1로 식후치가 공복치보다 의의있게 높음을 알았다. 남녀별 차이는 없었다.

2. 모든 간질환군에서 PBA가 FBA보다 높았으며, 비정상치를 보이는 예민도도 높았다.

3. 총담즙산치는 모든 간질환군에 있어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 만성 활동성 간염, 만성 지속성 간염의 순으로

높은치를 보였다.

4. FBA는 만성 지속성 간염보다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 더욱 의의있는 증가를 보임으로

서 이들 질환의 감별에 유용한 검사로 사료되었다.

5.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회복에 따라 총담즙산치는 통상 간기능검사들 보다 먼저 감

소하였다.

6. 간경 변증과 간암에 있어서 총담즙산치가 통상 간기능검사들 보다 현저히 예민하였

다.

7. 총담즙산치는 대체로 통상 간기능검사와 직선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혈청 총담즙산치의 측정은 간질환의 검출용 검

사로서 그 예미도가 높으며, 특히 급성 간염이 만성 간염으로 이행하는 것을 조기에 알려

주고, 또한 만성 간염의 활동성 여부도 알려주기 때문에 급·만성 간질환이 많은 우리나

라에서는 매우 유용한 검사라고 생각한다.







An Evaluation of Serum Total Bile Acid Determination in Liver Diseases



Kyung Sook Ki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ef. Samuel Y. Lee, M.D.)



Since Sherlock and Walshe (1948) first reported that serumbile acid was elevated

in hepatobiliary diseases, a number of investigators found that this determination

to be useful in following up the course of acute viral hepatitis and chronic active

hepatitis . Especially, postprandial bile acid was recommended as a sensitive test

for the detection of mild liver diseases.

However it has not been widely used in daily practice because of its technical

difficulties. Recently, a sensitive direct enzymatic spectrophotometric method was

developed, and gradually it became accepted as a screening test of liver diseases.

But unfortunately, there has not been any trial along this lin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asting and

postprandial total bile acid determination employing the direct enzymatic method in

the diagnosis and following up various liver diseases . Total bile acids were

determined in 113 paired serum samples obtained from 66 patients. As a control

group, 31 paired serum samples were obtained from 31 normal subjec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bile acid in normal subjects was 5.1±3.0

μmol/1 with fasting serum and 8.3±3.6 μmol/1 with postprandial serum. No

difference was noted by sex.

2. The postprandial values were much higher and more sensitive than those of

fasting serum in liver diseases.

3. Total bile acid valu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all liver diseases, with

decreasing order of acute viral hepatitis liver cirrhosis, hepatoma, chronic active

hepatitis and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4. Fasting serum total bile acid valu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chronic

active hepatitis more consistently than in chronic persistent hepatiotis.

5. During the convalescent period of an acute viral hepatiotis, the total bile

acid values fell faster than other conventional liver function tests.

6. In liver cirrhosis and hepatoma, the serum total bile acid was far more

sensitive than conventional liver function tests.

7. Total bile acid showed a good linear correlation with ALT, AST, Bilirubin and

ALP.

From these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rum total bile acid

determination is a sensitive diagnostic test for the detection of liver diseases,

and to monitor the progress of acute hepatitis into chronic stage or to

differentiate chronic active hepatitis from inactive hepatiti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11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