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897

Cited 0 times in

서울시 기술직공무원(의무직군, 보건직군)의 행정체계 분석과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for Civil Servant Health Professionals in Seoul and the Factor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Nurses 
Authors
 권미옥 
Issue Date
1992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우리나라 공중보건 사업은 보건행정의 합리적인 운영과 국민보건의 향상 및 증진을 도모

하기 위하여 1956년 보건소법을 제정한 이래 보건소를 설치 운영하여 왔고 오늘날에 이르

기까지 많은 변화와 발전으로 공공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사회는 국민들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한 국민들의 기

대감은 고조되고 보건의료요구도 다양해졌으며, 또한 양질의 보건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추세의 변화에 따라 보건소기능은 점차 공중서비스기능만이 아니

라 개인보건서비스기능도 강화시킨 사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건소 기술직공무원 즉 의무·약무·간호·보건직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

며, 그 중에서도 특히 보건간호사는 가장 많은 수의 일반대중과 접촉을 하며 보건소 전영

역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업무

를 추진해야 함은 당연한 일이라하겠다.

그러나 현 서울시 기술직공무원의 행정체계는 직종간에 차이가 많으며 이러한 차이는

특히 간호직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고려되고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현

재 서울시 기술직공무원의 행정체계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보건간호사의 행정체계 인

식정도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하며,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여 행정체계의 문제점과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과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의 행정체계분석은 서울시 인사과에서 보유하고 있는 인사기록부에 근거한 기

존자료 분석으로써 1차 자료 수집은 1991년 5월 30일에 하였고, 2차 자료 수집은 1992년

4월 10일에 하였다.

행정체계 인식정도 및 직무만족도는 1992년 4월 30일부터 5월 11일까지 총 12일 등안

서울시내 22개구 보건소 보건간호사 556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청함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

하고 조사자 1인이 직접 방문을 통해 회수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행정체계분석을 위해 Herzberg(1959) 두요인이론의 위생요인과 Stamps등(19

78)이 개발한 직무만족요소를 혼합해서 사용하였고, 보건간호사 행정체계 인식정도를 측

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27개 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의 측정

을 위해서는 건강전문직 인력의 직무만족을 측정하기위하여 Stamps등이 개발한 48개 문항

의 도구를 보건간호실정에 맞게 어휘만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보건간호사의 행정체계 인식정도와 직무만

족도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점수, 표준편차와 평균평점을 구하였으며, 이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보건간호사의 인구

사회학적·근무관련 특성과 행정체계 인식정도,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분석은 AN0VA 분석방

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단계적 증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시 행정체계의 특성을 전문적위치, 승진, 보수, 자율성, 업무요구, 감독체계,

보직상태의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각 직렬별로 상이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승진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기술직공무원의 직급별로 정원 확보면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있었는데 타직렬에 비해 간호직은 상위직급인 5급의 정원은 적고(0.33%) 최하위

직급인 8급의 정원은 지나치게 많은(61.11%) 분포를 보여 이 분포상의 문제에 타당성있는

근거제시를 위해 일반직공무원과 비교해 본 결과 (일반직 : 간호직)에서 5급 (4.58:0.53

), 6급 (13.79:10.52), 7급 (20.82:27.84), 8급 (33.93:61.11)의 분포를 보였다.

2. 보건간호사의 행정체계 인식정도는 최대 가능 점수 25점에 대해 평균점수 12.14점이

며, 최대 평점 1점에 대해 평균평점 0.54점으로 나타났고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정도가 0.

87점으로 가장 높고 보직상태에 대한 인식정도가 0.3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최대 가능 점수 240점에 대하여 평균점수 139.33점이며,

최대평점 5점에 대해 행정은 평균평점 2.92점으로 나타났고 전문적위치 3.27점, 상호작

용 3.19점, 자율성은 3.14점으로 높았으며, 행정·보수 각각 2.57점, 2.58점으로 가장 낮

아 보건간호사들이 행정(승진포함) 및 보수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보건간호사의 행정체계 인식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행정체계 인식 영역의 감독체계, 보직상태와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수준에서 약한 순상관관계(r= .25, P < .001)를 나타내고 있다.

5. 보건간호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정도

, 현직급에서의 근무기간, 승진에 대한 인식정도, 보직상태에 대한 인식정도등이 영향을

미치며, 이 네 변수로써 전체직무만족의 36.1%를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연구에서 나타난 기술직공무원의 행정체계에는 상이한 차이가 있으며, 보건

간호사 행정체계 인식정도는 행정체계 특성별로 승진 또는 감독체계와 관련된 부문에 가

장 인식정도가 높았고 승진소요 최소년수, 타직렬의 상관, 업무의 증류, 보건소장의 보직

등과 같은 부문에 인식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보건간호사들이 새로이 제정된 규정등

이나 담당업무외에 타업무에는 관심이 없고, 간호직렬외 타직렬 상관등의 보직등에도 관

심이 적은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서로 상관성이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간호사들이 업무수행시 느끼는 만족.불만족한점을 개별문항으로 질문하여 기술하게

한 결과 만족한점에는 대개 환자관리 및 대민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원만한 관계가 이루

어 질때 만족해 했고, 불만족한점에 대해서는 실적 및 형식위주의 업무처리, 감독체계에

있어서 상관이 동일직종이 아닌점 업무량과다, 행정적인 뒷받침 부족, 승진기회가 적음등

을 불만족요인으로 제시했다. 이는 직무만족도 도구에 의한 측정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전

문적위치, 상호작용등은 만족요소로 나타났으며, 불만족요소로 나타난 업무요구, 행정(승

진포함), 보수등의 요소들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또한 행정체계 분석에서 불균형 상태로

나타난 승진, 보수, 업무요구, 감독체계등의 영역과도 같은 맥락이 된다. 결국 보건간호

사의 직무만족도는 올바른 인식정도와는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 행정체

계 특성의 불균형 상태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보건간호사는 계급사회인 공무원 사회에서 여러직종·직렬과 함께 근무하고 있는 상황

이므로 처한 현상황이나 변화하는 제도등에 관심을 갖고 행정체계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스스로의 노력과 간호협회등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계속적인 보수 교육을 실시

토록 해야 겠다.

기술직공무원의 행정체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직공무원의 승진적체는 근본적인 제도 개

선 없이는 해결될 수 없으므로 법적·제도적 뒷받침과 정부기관 및 관계기관의 지원이 있

어야 하겠다.





An Analysis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for Civil Servant Health Professionals in

Seoul and the factor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Nurses



Mee Ok Kwoen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Euisook Kim, D.N.Sc.)



The health center system in Korea has been managed according to the law of 1956

by which the public health centers were established and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health improvement in the population.

As society changes the function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must gradually move

from not only delivering public health services but also to being concerned with

private health service.

To this end the role of the civil servants who are health professionals in the

health centers, that is, the role of doctors, nurses, pharmacists and allied health

personnels as civil servants is very important.

This is especially true of public health nurses who do most of the work in

contacting the general population in all sections of society.

They must b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actively promote the services of the

health center.

But the administration system for the civil servants who are health professionals

in Seoul can influenc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this will in turn

influence job performance.

This study was attempted, firstly to analyze the administration system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ivil servants health professionals. Secondly,

it was tried to determine how the perception by the public health nurses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further to

indentify factors that are problems in the administration system and influence job

satisfaction.

For analysis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the data from the personnel department

at Seoul city hall were used. The fist data analysis was done on May 30 1991 and

the second data analysis was done on April 10 1992.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ies by the public health

nurs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was collected from 556 public health nurses

who served in the 22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It was carried out by mail using a questionnaire from April 30 to May 11 1992.

For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an instrument based on

Herzberg(1959) dual theory on hygiene factor was used for job satisfaction, an

instrument developed by Stamps et al(1978) was used.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by the public health

nurses was assessed using an exam typ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yudy a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administration system, some degree inequalities were found

between the services taking into account their basic background preparations.

Particularly, the areas of promotion supervisor system and pay were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s.

Duration, allowance of opportunity and level of accumulation were observed in

promotion problem for public health nurses.

2.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by the

public health nurses the mean score was 12.14 score of a possible total of 25.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item with the highest mean

scores was "supervisor system" and the item the lowest mean scores was

"appointment".

3. With regard to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ublic health nurses the mean score

for job satisfaction was 139.33 score of a possible total of 240.

The job satisfaction items with the highest mean scores were "job prestige /

status", "interaction", and "autonomy", and the items with the lowst mean scores

were "pay" and "administration".

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of public health nurses and the subscales for job satisfaction on two of

the subscales but supervisor system and the appointment sphere for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inequality were found to be a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Using stepwise multiple supervisor system and length of work at the same

grade, the perception of promotion and the perception of appointmen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nurses and it was

accounted for 36.1% of the varianc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1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