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5 608

Cited 0 times in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종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을 사용한 알레르기 결막염 동물 모델의 확립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llergic conjunctivitis induced by house dust mite extract from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Authors
 이영지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목적 : 인간 질환과 치료적 방법의 효용성을 탐구하기 위해 질환 동물 모델이 필수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람의 주요 알레르기 항원 인자인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을 사용하여 알레르기 결막염을 일으키는 동물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방법 : 40 마리의 BALB/c 품종의 암컷 쥐를 5군으로 나누어 위약과 항원 Ovalbumin 10ug,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로부터 얻은 항원 10ug, 100ug, 500ug 으로 1주 간격으로 2차례 전신 면역 감작을 시키고, 2주째 이틀 간격으로 연속 3차례 항원의 안구 점안 후, 쥐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지 임상적으로 관찰하고, 실험 시작 19일째 쥐 안락사를 통해 얻은 검체로 전체 Ig E 및 항원 특이 IgE 검사를 하고, 항원 특이 림프구 증식 및 상층액 사이토카인 양 검사를 진행하고, 안구 조직병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집먼지 진드기로 유도된 쥐의 알레르기 결막염은 기존 Ovalbumin 알레르기 결막염 모델 및 인간 질환과 임상 및 검사 결과상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목 림프절 내 항원 특이 lymphocyte 및 항원에 대한 IL-4와 IL-5 수치, 혈액내 Ig E 수치 또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결막 내 mast cell 및 eosinophil 침윤 증가 및 CD4 cell의 STll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고, IL-5 분비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Conclusions : 이번 쥐 모델은 미래 치료적 기반을 위한 면역 병리학적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보이며, D.pteronyssinus 결막염 모델 유도시 10ug 항원을 면역 감작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0132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Young Ji(이영지)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0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