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5 890

Cited 0 times in

화재진압대원의 업무 관련성 근골격계 위험성 평가

Other Titles
 Assessing fire fighter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risks 
Authors
 손정원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산업보건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실제 화재 현장에서 나타나는 대원들의 작업 자세에 대한 촬영이 어렵기에 화재진압 업무를 화재진화사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분하였고, 훈련 중 근골격계 질환 발생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종목에 대하여 인간공학적 평가를 실시하여, 화재 진압 활동에서 사용되는 각종 작업 자세의 근골격계 위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화재진화사 교육프로그램 중 전문가 예비조사를 통해 근골격계 위험이 높다고 평가된 10종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신임 소방공무원 임용예정자 20명이 시범 실시한 작업을 작업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여 10종목 39동작 267정지 영상으로 구분하였고, 인간공학적 평가기법인 OWAS 및 REBA를 활용하여 평가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OWAS 평가에서는 ‘소방호스 전개 및 회수’, ‘요구조자 2인 운반’, ‘고층 건물 화재진압’, ‘저층 화재진압’, ‘동력절단기 조작’, ‘1인 사다리 운반 및 설치’, ‘요구조자 1인 운반’, ‘심폐소생술’의 8종목에서 근골격계 위험이 높아 작업 자세 개선이 필요하였으며, REBA 평가에서는 ‘소방호스 전개 및 회수’, ‘요구조자 2인 운반’, ‘공기호흡기 장착’, ‘고층 건물 화재진압’, ‘저층 화재진압’, ‘동력절단기 조작’, ‘1인 사다리 운반 및 설치’, ‘요구조자 1인 운반’, ‘심폐소생술’의 9종목에서 근골격계 위험이 높아 작업 자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OWAS로 분석하였을 때 근골격계 위험도가 가장 높은 종목은 OWAS 4점의 ‘요구조자 2인 운반’, ‘고층 건물 화재진압’, ‘저층
화재진압’, ‘1인 사다리 운반 및 설치’의 4종목이었고, REBA로 평가하였을 때 가장 위험한 작업은 REBA 11점의 ‘소방호스 전개 및 회수’, ‘요구조자 1인 운반’, ‘심폐소생술’의 3종목이었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근골격계 위험도로 인하여 훈련 시 대원들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에 대비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근골격계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실제 화재 현장 속 대원들의 활동 모습과의 비교 검토가 필요하며, 화재진화사 교육프로그램은 종목별 결과 치를 반영한 교정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Files in This Item:
T01323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