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9 696

Cited 0 times in

암생존자의 건강행동 실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omparing health behaviors for cancer survivors :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7-2012 
Authors
 모하나 
Issue Date
2014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전공/석사
Abstract
이 연구는 암생존자의 건강행동(흡연, 음주,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나트륨섭취량, 채소 및 과일 섭취량,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일반 건강검진, 암검진) 실태를 파악하고, 대조군(만성질환자군,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해 건강행동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단면연구(cross-sectional study)이고, 제4기,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2)에 참여한 18세 이상의 성인 38,0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 당시 시점을 기준으로 암 진단 이후 생존기간 5년 미만인 암단기생존자, 5년 이상인 암장기생존자로 구분하였다. 대조군은 암이 없는 사람들 중에서 만성질환 의사 진단여부에 따라 정상군과 만성질환자군으로 구분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동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그룹별 건강행동 실천여부의 연관성을 보기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암단기생존자 및 암장기생존자의 흡연율은 각각 10.1%와 10.9%, 음주율은 암단기생존자 60.8%, 암장기생존자 51.1%, 국민 암 예방 수칙에 따라 신체활동을 하고 있는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7.0%, 암장기생존자 13.6%였다. 정상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64.0%, 암장기생존자 61.0%, 일일 나트륨 섭취량이 2000mg 미만인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11.9%, 암장기생존자 21.1%, 일일 채소 및 과일 섭취량 400g 이상인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62.5%, 암장기생존자 55.8%였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48.3%, 암장기생존자 52.8%, 일반 건강검진 수검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62.0%, 암장기생존자 62.9% 였고, 암검진 수검 비율은 암단기생존자
22.1%, 암장기생존자 15.6% 였다. 정상군에 비해 암장기생존자가 음주할 확률은 32% 낮았고(OR=0.68, 95% CI:0.52-0.88), 정상군에 비해 암장기생존자는 채소 및 과일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OR=1.46, 95% CI:1.12-1.89). 정상군에 비해 암장기생존자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할 확률은 35% 높았고(OR=1.35, 95% CI:1.02-1.77), 정상군에 비해 암단기생존자군이 암검진을 받을 확률이 가장 높았고(OR=4.60, 95% CI:2.67-7.94), 그 다음으로는 암장기생존자군이 암검진을 받을 확률이 높았다(OR=3.23, 95% CI:2.17-4.81). 정상군에 비해 암장기생존자군이 4가지 이상 건강행동을 할 확률은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OR=1.36, 95% CI:1.37-2.45). 이 연구는 암생존자가 대조군에 비해 건강행동을 비교적 잘 실천하고 있었으나 건강행동별로 실천율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흡연, 정상체중유지, 채소 및 과일섭취, 암검진 항목에서는 암장기생존자의 건강행동이 암단기생존자에 비해서는 낮은 실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치료가 종료된 이후에 암생존자들의 건강행동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32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9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