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6 695

Cited 0 times in

유증기 회수설비 유무에 따른 주유소 종사자들의 요중 trans, trans-muconic acid, hippuric acid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재준-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4:17Z-
dc.date.available2015-12-24T09:04:1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890-
dc.description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주유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유증기 회수설비 사용에 따른 벤젠, 톨루엔의 요중 대사산물인 trans, trans-muconic acid(t, t-MA)와 hippuric acid 농도의 배설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경기 지역의 주유소 10개소의 종사자 23명을 대상으로 작업종료 후 소변을 채취하여 요중 대사산물의 분석하였다. 또한 요중 대사산물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업요인과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연구결과 : 작업종료 후 요중 t, t-MA와 hippuric acid의 평균농도는 유증기 회수설비가 설치된 주유소의 종사자가 0.124±0.177 mg/g creatinine, 0.557±0.251 g/g creatinine 이었으며, 유증기 회수설비가 미설치된 주유소 종사자들은 0.160±0.113 mg/g creatinine, 0.682±0.619 g/g creatinine 이었다. 평균농도는 유증기 회수설비가 미설치된 주유소 종사자들이 높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흡연자, 비흡연자 모두 유증기 회수설비가 미설치된 주유소에서 요중 t, t-MA와 hippuric acid 평균농도가 높았다. 요중 대사산물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평가에서 t, t-MA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없었으며, hippuric acid는 연령만 유의하였다(p=0.024).결론: 유증기 회수설비가 미설치된 종사자들의 요중 t, t-MA와 hippuric acid 농도가 유증기 회수설비가 설치된 주유소 종사자들보다 더 높았다. 향후 주유 활동에 따른 벤젠, 톨루엔의 피부흡수와 유증기 회수설비 유무를 고려한 생물학적모니터링의 평가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유증기 회수설비 유무에 따른 주유소 종사자들의 요중 trans, trans-muconic acid, hippuric acid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urinary trans, trans-muconic acid, hippuric acid of gas station worker according to the use of gasoline vapor recovery syste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ae J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