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1 1200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척추 수술 환자의 재입원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isk Factors assoiated with the readmission of the spinal surgery patients 
Authors
 이하나 
Issue Date
2014
Description
병원경영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척추 수술 후 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임상학적 특성, 진료과정 특성과 척추 수술 후 재입원과의 관련성을 비교하는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서울 소재 2000병상 규모의 1개 대학병원 신경외과에서 계획된 척추 질환 수술을 받은 9587명 중, 수술 후 퇴원하여 30일 이내 재입원한 환자들 102명과 재입원하지 않은 환자들 중 연령과 성별에 맞춘 무작위 추출을 통하여 선정한 환자들 4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입원 특성과 관련한 변수들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수집한 변수들은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척추 수술 후 재입원군 자체가 유합술을 한 경우가 많으며, 서울 및 수도권에 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척추 수술 비관련 증상으로 입원한 군이 재원일 수, 진료비, 중환자실 입실, 동반 상병수의 개수가 더 많았다. 척추 수술 관련 증상으로 재입원한 군은 재수술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평균 연령이 높았다.2.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재입원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 진료비, 재원일수, 중환자실 입실, 유합술 여부, 유합술 범위, 재수술 과거력, 당뇨, 정신질환, 동반상병 수, 수술시 출혈량, 수술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 척추 수술 후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재원일수, 진료비 총액, 수술 시간, 재수술 과거력, 중환자실 입실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로 재원일 수 및 수술 시간이 짧을 경우, 재수술
과거력 및 중환자실 입실을 한 경우는 향후 재입원 위험군임을 고려하여 재원기간 동안 관리가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재입원 관련 요인을 제어하는 방법을 강구한다면 재입원을 억제하여 의료비용을 감소시키고, 치료 성적을 높이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10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8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