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0 1258

Cited 0 times in

대동맥 죽상경화 환자에서 뇌경색 양상의 특징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infarction pattern and mechanisms of stroke in patients with complex aortic atheroma 
Authors
 김승우 
Department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Issue Date
201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대동맥 죽상경화는 뇌경색의 독립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동맥 죽상경화가 있는 뇌경색 환자에서 뇌경색이 발생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대동맥 죽상경화에서 혈전이 형성되어 뇌경색을 일으킬 수도 있으나, 대동맥 죽상경화는 단지 전신적인 동맥경화의 간접적인 지표이며, 동반된 뇌혈관 동맥경화에 의해서 뇌경색이 생길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식도 심초음파검사와 확산강조 영상을 이용하여 대동맥 죽상경화가 뇌경색을 일으키는 기전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하여 경식도 심초음파검사를 시행한 환자에서, 뇌경색의 원인이 한 가지이며 다른 원인은 배제된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복합성 대동맥 죽상경화 (complex aortic plaque, CAP)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환자는 64명(24%), 큰 동맥 죽상경화(large artery atherosclerosis, LAA)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환자는 127명(47%)이었고, 심인성 색전(cardioembolism, CE)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환자는 80명(30%) 이었다.환자의 나이는 CAP군(67 ± 9)과 CE군(66 ± 10)이 LAA군(61 ± 13) 보다 많았다(p <0.001). 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는 당뇨병이 CAP군(42%)과 LAA군(40%)이 CE군(20%) 보다 2배정도 많았다(p <0.004). 지단백 분석에서 총 콜레스테롤 (p=0.003), 중성지방(p=0.012),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p=0.004)은 LAA군과 CAP군이 CE군보다 높았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CE군에서 높았다(p <0.001). 뇌졸중 중증도 척도인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점수는 입원 당일에는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입원 3일째에는
CAP군이 LAA군이나 CE군에 비해 낮았다(p=0.021).CAP군에서 많이 보이는 세부적인 뇌경색 양상은 단일 피질하 병변 (26.6%), 작은 단일 피질 병변(18.8%), 다발성 산개된 작은 피질 병변 (17.2%) 순이었다. 단일 피질 병변의 경우 크기가 작은 경우(18.8%)가 큰 경우(3.1%)에 비해서 6배 가량 많았다.CAP군의 뇌경색 양상을 LAA 및 CE군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같은 동맥경화성 병인 기전인 LAA군과 비교했을 때 단일 피질하 병변은 두 군에서 비슷한 빈도로 관찰되었다. 단일 혈관영역에서 다발성 병변을 보이는 경우, CAP군은 산개된 작은 피질 병변 양상을 많이 보였다. 여러 혈관영역을 침범하는 다발성 병변은 CAP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색전성 병인 기전인 CE군과 CAP군을 비교했을 때 여러 혈관영역의 다발성 병변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일 피질하 병변은 CAP군에서 흔하였다. CAP군에서 단일 피질하 병변이 흔하다는 것은 동맥경화성 병인인 LAA군과 유사하였으나, 여러 혈관영역을 침범하는 다발성 병변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색전성 병인인 CE군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대동맥 죽상경화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뇌경색 양상은 큰 뇌혈관 동맥경화를 가지고 있는 환자군과 심인성 색전을 가지고 있는 환자군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두 가지 기전(대동맥 죽상경화에서 혈전이 형성되어 뇌경색을 일으키는 기전과 대동맥 죽상경화는 단지 전신적인 동맥경화의 간접적인 지표로 동반된 뇌혈관 동맥경화에 의해서 뇌경색이 생기는 기전)이 모두 뇌경색의 발생에 기여함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01305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Seung Woo(김승우)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5621-0811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8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