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5 1586

Cited 0 times in

한국의 뱀교상 : 외과적 일차치료 지침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성민-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1:50Z-
dc.date.available2015-12-24T09:01:5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79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목적: 독사 교상은 교상 부위의 동통, 부종, 연조직 괴사 등과 같은 국소증상 비롯하여 어지럼증, 안구신경마비,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 급성 신부전 등의 전신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내 치료 체계는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항사독소 투여 여부에 따른 외과적 치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독사 교상 환자의 치료에서 외과적 치료를 중심으로 독사교상의 치료 지침을 만들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2008 년 1 월부터 2012 년 12 월까지 독사 교상으로 본원 응급실로 내원 후 입원한 독사 교상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상환자의 중증도와 뱀종류별, 교상 부위의 외과적 중증도를 토대로 항독소의 투여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외과적 변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교상 환자 총 111 명 중 변연절제술이 필요했던 환자는 총 46 명(41.4%)으로 항독소 피부 반응검사상 양성소견 보이거나 유혈목이인 경우 항사독소 투여를 받지 않고 즉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군을 A 군, 항사독소 투여를 받고 지연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군을 B 군으로 하였다. 각 군 간의 입원 당시의 중증도, 연령, 과거력, 항독소 투여까지 시간, 교상부위, 혈액검사, 외과적 처치 및 합병증을 비교분석하였다. 항독소 투여시 과민성 쇼크, 혈압 감소 등의 항독소 합병증도 조사 하였다. 결과: 전체 46 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A 군 총 10 명(21.7%)으로 Grade I 이 6(60.0%)명, Grade II 가 3 명(30.0%), Grade III 가 1(10.0%)명으로 Grade II 인 3 명의 환자 중 2 명(66.6%)에서 연조직염이 발생하였고 그 중 1 예에서 피부괴사가 발생하여 피부이식을 시행하였다. B 군은 36 명(78.2%)으로 Grade I 이 13 명(36.1%), Grade II 가 20 명(55.5%), Grade III 가 3 명(8.3%)이였다. B 군 중 19 명(52.7%)에서 연조직염이 발생하였으며 2 명의 환자에서 피부괴사가 발생하여 피부이식을 시행하였으며 1 명의 환자에게서 구획증후군이 발생하여 근막절개술을 시행하고 피부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절단술, 관절운동제한이나 신경손상, 골수염 등 주요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응급실에 내원한 독사 교상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치료 지침은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독사 교상 환자에게 중대한 합병증 없이 비교적 좋은 임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외과적 일차치료의 좋은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의 뱀교상 : 외과적 일차치료 지침-
dc.title.alternativeSnake bite in Korea : a guideline to primary surgical management-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