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523

Cited 0 times in

설측 레버암 디자인에 따른 전치 분절의 변위 양상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지성-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0:24Z-
dc.date.available2015-12-24T09:00:2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742-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설측 레버암은 설측교정시 전치의 치축 조절을 위한 힘 벡터의 방향과 위치를 조절하는 유용한 장치이다. 그러나 최근의 3차원 유한요소 연구에 따르면 레버암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호선의 leverage effect에 의해 원치 않는 견치의 협측 변위 및 전치의 설측경사가 일어남이 보고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레버암에 splint wire를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부 치체이동을 위한 최적의 레버암 디자인을 찾기 위하여 전치부 후방 견인시 설측 레버암의 splint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추가적으로 호선의 강성과 치근막의 물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상악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체이동은 Splint model의 경우 구개경사면의 미니스크류에서 견인시 레버암 길이가 16.85mm인 경우, 정중구개부의 미니스크류에서 견인시 레버암 길이가 19.01mm인 경우에 나타났다. Non-splint model의 경우 20mm 레버암에서도 미약한 설측 경사이동을 나타냈다. 2.Splint model에서 Non-splint model에 비해 견치 및 구치의 협측 변위량이 1/2-1/4 감소하였다.3.Splint model의 경우 Non-splint model에 비해 호선의 종류나 미니스크류의 위치가 치아 변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작게 나타났다.4.호선의 강성에 따른 차이 비교시 .016x.022 스테인리스 호선과 .018x.025 스테인리스 호선에 따른 전후방 치아이동 양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018x.025 호선에서 견치 및 구치부의 협측 변위량이 약 1/3-1/4 감소하였다. 주호선을 강체로 설정한 경우 힘 벡터와 해당 치아 분절의 저항중심과의 관계에 따라 치아군의 후방이동 및 회전이 관찰되었다.5.상악 전치부의 치근이동을 위해서는 호선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분절호선상에서 약 20mm의 레버암을 splint하여 적용하는 것이 추천된다.6.치근막의 물성치가 초기 치아 변위 양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의 치근막에서 레버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치아 이동양상이 더 민감하게 변하고 치체이동을 위해 더 긴 레버암이 필요함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레버암의 splinting이 주호선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상악 전치의 치체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호선의 강성과 치근막의 물성치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설측 레버암은 설측교정시 전치의 치축 조절을 위한 힘 벡터의 방향과 위치를 조절하는 유용한 장치이다. 그러나 최근의 3차원 유한요소 연구에 따르면 레버암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호선의 leverage effect에 의해 원치 않는 견치의 협측 변위 및 전치의 설측경사가 일어남이 보고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레버암에 splint wire를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부 치체이동을 위한 최적의 레버암 디자인을 찾기 위하여 전치부 후방 견인시 설측 레버암의 splint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추가적으로 호선의 강성과 치근막의 물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상악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체이동은 Splint model의 경우 구개경사면의 미니스크류에서 견인시 레버암 길이가 16.85mm인 경우, 정중구개부의 미니스크류에서 견인시 레버암 길이가 19.01mm인 경우에 나타났다. Non-splint model의 경우 20mm 레버암에서도 미약한 설측 경사이동을 나타냈다. 2.Splint model에서 Non-splint model에 비해 견치 및 구치의 협측 변위량이 1/2-1/4 감소하였다.3.Splint model의 경우 Non-splint model에 비해 호선의 종류나 미니스크류의 위치가 치아 변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작게 나타났다.4.호선의 강성에 따른 차이 비교시 .016x.022 스테인리스 호선과 .018x.025 스테인리스 호선에 따른 전후방 치아이동 양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018x.025 호선에서 견치 및 구치부의 협측 변위량이 약 1/3-1/4 감소하였다. 주호선을 강체로 설정한 경우 힘 벡터와 해당 치아 분절의 저항중심과의 관계에 따라 치아군의 후방이동 및 회전이 관찰되었다.5.상악 전치부의 치근이동을 위해서는 호선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분절호선상에서 약 20mm의 레버암을 splint하여 적용하는 것이 추천된다.6.치근막의 물성치가 초기 치아 변위 양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의 치근막에서 레버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치아 이동양상이 더 민감하게 변하고 치체이동을 위해 더 긴 레버암이 필요함을 고려하여야 한다.본 연구 결과를 통해 레버암의 splinting이 주호선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상악 전치의 치체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호선의 강성과 치근막의 물성치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설측 레버암 디자인에 따른 전치 분절의 변위 양상-
dc.title.alternativeDisplacement pattern of anterior segment depending on the lingual lever arm desig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ang, Ji S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