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1437

Cited 0 times in

음성장애 중증도에 따른 MDVP와 Praat 프로그램의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in MDVP and Praat programs according to severity of voice disorders 
Authors
 심상용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MDVP와 Praat은 대상자의 음성을 객관적 수치로 측정하는 프로그램으로 음질을 평가하는 아홉 가지 변인들을 공통으로 사용하는데 그 변인들은 F0, jitter 변인인 jitter local(이하 J local), jitter absolute(이하 J abs), jitter relative average perturbation(이하 J rap), jitter period perturbation quotient(이하 J ppq), shimmer 변인인 shimmer local(이하 S local), shimmer dB(이하 S dB), shimmer amplitude perturbation quotient(이하 S apq), NHR이다. 그런데 두 프로그램을 비교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한 측정 결과가 연구마다 차이를 보여왔는데, 그 이유는 대상자의 질환, 나이, 음성장애 중증도 등에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8∼50세 정상군, 성대결절군, 성대마비군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모음 /a/를 MDVP와 Praat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프로그램이 음성장애 중증도를 잘 구분할 수 있는지, 각 중증도에 따라 두 프로그램의 음성 분석 수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중증도는 GRBAS 척도(G0, G1, G2)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그에 따른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대결절에서는 MDVP분석 결과, jitter와 shimmer 변인들에서 G2군이 G0(정상)군, G1군 각각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Praat 분석 결과에서는 jitter와 NHR의 변인들에서 G2군이 G0군, G1군 각각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shimmer 변인들에서는 G2군이 정상군보다 수치들이 유의하게 높았다. 즉, MDVP는 jitter, shimmer 변인들에서만 중증도간 수치 차이를 보였으나, Praat은 jitter, shimmer 변인들, NHR 모두에서 수치 차이가 관찰됨으로써, Praat이 MDVP에 비해 성대결절 중증도 구분에 더 용이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대마비에서는 MDVP 분석 결과, jitter 변인들에서 G2군이 G0(정상)군, G1군 각각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shimmer 변인들에서는 G2군의 수치가 G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raat의 경우에는 shimmer 변인들에서만 G2군이 G0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즉, 성대마비 환자군의 중증도를 구분하는데 있어 MDVP가 jitter, shimmer 변인들에서, Praat은 shimmer 변인들에서만 중증도 구분이 가능함으로써, MDVP가 Praat보다 더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음성장애 중증도 별로 성대결절, 성대마비 대상자의 음성에서 MDVP와 Praat 간 변인 수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성대결절, 성대마비 대상자는 중증도와 상관없이 jitter 변인들과 NHR에서 MDVP 수치가 Praat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 성대결절이 성대마비에 비해 MDVP와 Praat 수치 변화에 더 민감한 질환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MDVP와 Praat이 GRBAS와 어떤 관계성을 갖고 있는지, MDVP와 Praat은 어떤 음향학적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향후 MDVP나 Praa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성장애 대상자의 음성을 분석하고자 할 때에는 음성 중증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3928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6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