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6 1509

Cited 0 times in

2000-2010년 사이 한국 성인의 기능치아수의 변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금자-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7:35Z-
dc.date.available2015-12-24T08:57:3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633-
dc.description치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지난 30년간 대부분의 서구 선진국에서는 구강건강 상태가 꾸준히 향상되어, 특히 아동의 치아우식증은 평균 우식경험 뿐만 아니라 유병율도 감소하는 추세이며, 과거에 비해 성인들도 더 많은 치아를 보존하고 건강한 저작기능을 유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치아우식증의 감소는 사회・경제학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점이 커서, 우리나라는 2000년도 최초로 전국 단위의 구강건강실태조사를 시행하여, 국민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강보건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 2006년 구강건강실태조사와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난 10년의 DMFT 지수의 변화와 기능치아 수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화 양상의 시각화에 치아수명곡선을 활용해서 그 유용성을 확인하며, 치아상실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당뇨병, 흡연 여부에 따라 치아수명곡선이 변화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능치아 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경제학적인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우식경험영구치 지수는 성인 35-44세에서 2000년 4.07개, 2006년 4.76개, 2010년 5.102개로 증가하였으며, 노인 65-74세에서는 2000년 10.98개, 2006년 10.58개, 2010년 8.26개로 감소하였다(p<0.0001).2. 우식영구치 지수는 성인 35-44세에서 2000년 0.51개, 2006년 0.40개, 2010년 0.39개로 감소하였으며(p<0.0231). 노인 65-74세에서는 2000년 1.05개, 2006년 0.54개, 2010년 0.59개로 감소하였다(p<0.0001)3. 상실영구치 지수는 성인 35-44세에서 2000년 1.01개, 2006년 0.80개, 2010년 0.50개로 감소하였으며. 노인 65-74세에서는 2000년 8.72개, 2006년 7.82개, 2010년 5.30개로 감소하였다(p<0.0001)4. 충전영구치 지수는 성인 35-44세에서 2000년 2.54개, 2006년 3.53개, 2010년 4.19개로 증가하였으며. 노인 65-74세에서는 2000년 1.21개, 2006년 2.20개, 2010년 2.31개로 증가하였다(p<0.0001).5. 평균 기능치아수는 20-24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000년 평균 22.19개에서 2010년 23.21개로 변화하였으며, 40-54세에서는 1개 이상, 55세 이후에는 2개 이상의 기능치아 수 증가를 보였다.6. 2000-2010년 기능치아수의 퍼센타일 곡선 변화는 90th 퍼센타일 곡선에서는 35세 이후에, 50th 퍼센타일 곡선에서는 40세 이후, 10th 퍼센타일 곡선에서는 55세 이후에 기능치아 수가 급격히 저하되는 변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7. 2006년-2010년 당뇨와 비당뇨 여부에 따른 기능치아 수의 변화는 전 퍼센타일 곡선에서 증가하였다. 당뇨군의 경우 90th 퍼센타일 곡선에서 연도별 변화는 40-45세, 50-60세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50th 퍼센타일 곡선에서의 연도별 변화는 35-45세에서 큰 폭의 증가를, 55-65세에서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10th 퍼센타일 곡선에서는 40-45세에서 당뇨군의 확연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8.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기능치아수는 전 퍼센타일 곡선에서 45-55세 사이에서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연도별 변화에서는 전 연령 군에서 2006년에 비해 2010년이 기능치아수가 증가하였으나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의 기능치아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9. 기능치아수와 인구, 사회경제학적 변수의 관련성은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성별, 거주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 의료보험, 당뇨병 유병 여부, 흡연 여부가 모든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기능치아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djusted R2=0.433).10. 기능치아수 20개 보유 여부에 관련된 요인의 관련성은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성별, 거주지역, 교육수준, 의료보험, 당뇨병 유병 여부, 흡연 여부가 모든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기능치아 수 20개 이하 보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ox & Snell R2 = 0.315).본 연구 결과 2000년-201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실치아와 충전치아수의 증가에 따른 영향일 것으로 보인다.기능치아 수는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기능치아 수와 치아수명곡선의 상관성을 검증하여, 치아수명곡선이 인구집단의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당뇨병과 흡연 경험 여부는 기능치아 수와 관련이 있는 위험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인구, 사회경제학적인 요인이 기능치아 수에 유의한 변수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하여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 지속적인 구강관리를 위해 예방적이고 포괄적인 평생구강관리가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2000-2010년 사이 한국 성인의 기능치아수의 변화-
dc.title.alternativeChanging patterns of number of functioning teeth in Korean adults from 2000 to 2010-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Keum Ja-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