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1 718

Cited 0 times in

블라스팅 후 산 처리한 표면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시 자외선 처리가 발치와 치유와 골 유착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홍준-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7:04Z-
dc.date.available2015-12-24T08:57:0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613-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 SA 표면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치 후 즉시 식립 하였을 때 발치와에서의 골 형성 및 골 유착에 미치는 영향을 성견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방사선학적, 형태학적,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4마리 성견의 상악골에서 제2,3 소구치를 발치한 후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하였고, 4주와 12주가 지난 후 실험 동물을 희생하였다. 각각의 군은 다음과 같다. 대조군은 기존의 SA 표면 임플란트고, 실험군은 자외선을 조사한 SA 표면 임플란트다. 4주 대조군(Con4), 4주 실험군(UV4), 12주 대조군(Con12), 그리고 12주 실험군(UV12)으로 나누었다. 발치와에서의 골 형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희생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골 결손부 면적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희생 후 모형을 제작하여 회복되지 않은 골 결손부의 부피를 3D 스캐너를 통해 계측하였으며,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 주변의 골량을 비교하였다. 골유착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조직계측학적 분석을 통해 골 접촉률과 골 단면적 비율을 비교하였다.결과: 치근단 방사선 사진, 모형제작을 통한 3D 스캔 이미지,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 촬영결과에서 자외선을 조사한 4주 실험군이 4주 대조군보다 많은 골형성을 보였다. 치근단 방사선 사진과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는 12주군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많은 골형성을 보였으나 모형제작을 이용한 3D 스캔 이미지 분석에서는 실험군보다 대조군에서 많은 골 형성이 나타났다. 조직계측학적 분석에서 골 접촉률은 4주군과 12주군 모두에서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골 단면적 비율은 4주군에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12주군에선 실험군보다 대조군이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결론: 여러 평가방법에서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았을 때 보다 초기 치유과정에서 높은 골 형성 및 골 유착정도를 보였다. 후기 치유과정 중에서도 자외선을 임플란트에 조사하는 경우 높은 골 형성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골 유착과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블라스팅 후 산 처리한 표면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시 자외선 처리가 발치와 치유와 골 유착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ultraviolet light treatment on healing of extraction socket and osseointegration of immediately placed sand blasted with alumina and acid e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ong J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