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5 1332

Cited 0 times in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후 환자가 인식하는 위장관 증상경험, 불확실성 및 회복과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병희-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4:30Z-
dc.date.available2015-12-24T08:54:3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509-
dc.description임상간호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위암을 진단받고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위장관 증상경험 및 불확실성을 측정하여 회복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임상에서 위암환자의 위장관 증상경험과 불확실성을 낮추고 회복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2년 10월 20일에서 11월 12일까지 서울시내 소재 Y 대학 부속병원 위암전문클리닉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후 외래를 내원환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6명(평균연령 54.66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외래에서 인터뷰를 통하여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 소요시간은 15~20분 정도였다. 도구는 위장관 증상 등급산정척도(Gastrointestinal Symptoms Rating Scale, GSRS), 불확실성 도구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회복정도는 회복과 관련된 선행도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17문항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및 Pearson’s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본 연구에서 위절제슬 받은 대상자의 전체 위장관 증상경험 점수는 총 34.77점(±13.06)점으로, 여자의 위장관 점수가 남자보다 위장관 증상경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2.52, p=.013). 연령에 따른 위장관 증상경험은 50세 미만의 대상자가(F=5.55, p=.005), 위암의 가족력이 없는 대상자의(t=2.736, p=.007) 증상경험 점수가 위장관 증상경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위장관 증상경험은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r=.259, p=.00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2. 위암환자의 불확실성 평균점수는 84.79(±13.52)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은 월평균 소득이 낮을수록(F=3.841, p=.024), 교육수준이 낮을수록(t=3.84, p<.001) 불확실성이 높았다. 추후 분석에서 소득수준이 낮은 그룹은 교육수준이 낮았음이 확인되었다(x²=25.594. p<.001). 위암의 가족력이 없는 대상자가(t=2.287, p=.024) 불확실성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회복점수가 낮게(r=-414, p<.001) 측정되었다.3. 위암환자의 회복 평균점수는 59.46(±11.45)점으로, 직업이 있는 경우가(t=2.19, p=.030), 수술 후 기간이 10~12개월 경과한 대상자가(F=3.036, p=.019), 수술 전 상태와 비교한 100점 VAS점수가 90점 이상으로 응답한 대상자의(F=20.70, p<.001) 회복점수가 높았다.4. 위암환자의 위장관 증상경험, 불확실성, 회복과의 관련성을 살펴 본 결과 위장관 증상경험이 높을수록 불확실성 점수도 높았으며(r=.259, p=.002), 불확실성 점수가 높을수록 회복점수가 낮았다(r=-414, p<.001). 위장관 증상경험이 많을수록 회복점수가 낮았다(r=-191, p=.023). 본 연구결과에서 위암환자들의 회복정도는 위장관 증상경험 및 불확실성 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수술 후 회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장관 증상경험, 불확실성을 파악하고 환자의 위장관 증상경험과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간호중재가 진단 시기 및 수술 전부터 각 치료단계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시기적절하고 충분한 상담시간을 통한 정보제공이 지속적, 상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다학제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위암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습관적 회복을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후 환자가 인식하는 위장관 증상경험, 불확실성 및 회복과의 관계-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gastrointestinal symptoms, uncertainty, and recovery in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gastrectom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 Byeong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