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1 872

Cited 0 times in

건강신념과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health belief model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Authors
 오경희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역학건강증진학과 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와 반복검진의 의향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 행동촉진계기, 이전의 검진경험, 건강신념에 따른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와 반복검진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군포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9세의 50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2008년 1월 18일부터 29일까지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행동촉진계기,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자궁경부암 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전의 검진경험, 만성질환 및 생활습관의 변수를 추가하여 반복검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χ2 검정을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들을 포함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50.2세이며, 모두 기혼이었다. 자궁경부암의 수검률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건강신념 중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장애성과 자기효능감이였다. 지각된 장애성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지각된 장애성이 높은 대상자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은 오즈비는 0.51(95% CI, 0.29-0.91)로 장애성이 낮을수록 자궁경부암 검진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상자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은 오즈비는 1.93(95% CI, 1.08-3.46)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궁경부암 검진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궁경부암의 반복검진 의향은 연령이 높을수록 반복검진 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오지비 0.48, 95% CI, 0.23-0.99), 타인과 비교했을 때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쁜 편이다’고 생각하는 대상자에 비해 ‘좋은 편이다’라고 생각하는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2.82(95% CI, 1.05-7.56)로,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할수록 반복검진의 의향이 높았다. 운동과 관련하여 일주일 동안 거의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에 비해 일주일에 5일 이상 운동하는 대상자의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4.79(95% CI, 1.47-15.60)로, 운동을 많이 할수록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이 높았다. 이전의 검진시점이 3년 이전의 대상자에 비해 1년 이내에 검진을 한 대상자가 2.92배 반복검진 의향이 높았다(95% CI, 1.39-6.16). 건강신념 중 질병에 대한 지각된 감수성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감수성이 중간인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3.65(95% CI, 1.66-8.05)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 낮은 대상자에 비해 유익성이 높은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반복검진 의향의 오즈비는 2.37(95% CI, 1.01-5.56)로, 검진에 대한 유익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반복검진 의향이 높았다. 결론 : 자궁경부암 반복검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질병에 대한 지각된 감수성과 검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검진에 대한 지각된 장애성과 검진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임을 알 수 있었다. 반복검진의향을 실제 검진행위로 이행하기 위해 검진에 대한 장애성을 줄이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보건정책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27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4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