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7 1940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한 욕창발생위험사정도구의 전자의무기록 활용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2:30Z-
dc.date.available2015-12-24T08:52:3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426-
dc.description임상간호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한 욕창발생위험사정도구의 전자의무기록 활용 평가본 연구는 욕창발생 위험사정도구인 Cubbin & Jacson scale을 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욕창발생 예측 타당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확인하고 Cubbin & Jacson scale의 전자의무기록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위하여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보면 남자가 63%로 많았고, 평균 연령은 59.77세였다. 중 환자실 체류기간은 평균 1.43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병동으로 이동하였을 확 인하였다. 진료과는 외과가 53.1%로 과반수이상이었고 인공호흡기와 억제대를 50%이상의 대상자에게 적용하였다. 욕창발생자는 118명으로 욕창발생률은 14.2%로 분석되었다.2. 일반적, 임상적 특성 중 중환자실 체류기간, 퇴실 시 상태, 당뇨, 부종, 인공호 흡기, 억제대, 평균혈압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Cubbin & Jackson scale에서는 연령과 피부상태를 제외한 체중, 의식수준, 운동 성, 혈역학적 상태, 호흡, 영양상태, 실금, 위생 여덟 항목에서 욕창발생과 유의 한 관계를 보였으며, Baden scale에서 감각인지, 습기, 체위변경, 영양, 마찰/전 단력의 다섯 항목이 욕창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도구 개발자가 제시하고 있는 경계점수에서 Cubbin & Jackson scale과 Braden scale 두 도구의 예측타당도를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로 확인하 였을 때 Cubbin & Jackson scale은 72.0%, 68.8%, 27.7%, 93.7%이며, Braden scale은 93.2%, 16.6%, 15.6%, 93.7%였다. ROC 곡선하 면적은 Cubbin & Jackson scale은 .763, Braden scale .711로 계산되었다. 5. Cubbin & Jacson scale 세부항목 중 연령, 의식수준, 호흡, 실금은 구조화된 데 이터 항목과 완전히 대응이 가능하였고, 피부상태는 표준 진술문으로 대응이 가 능하였으며, 체중, 혈역학적 상태, 영양은 2개 데이터의 조합으로 유도가 가능한 보완적 대응을 보였고, 신체 활동과 개인위생은 EMR기록으로 찾을 수 없는 불 완전 대응의 관계를 나타내 EMR 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 수들의 결측률은 연령, BMI 등은 0%, 의식수준에서 34%(474건), 평균혈압에서 1.5%(21건), 호흡상태 37.3%(519건), Braden scale에서 34.6%(482건), 심근수축제 의 실시유무는 3%(42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Cubbin & Jackson scale이 Braden scale보다 ROC 곡선하 면적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으나 중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전향적으로 그 타당도를 검증해 보아야 하겠다. 또한 Cubbin & Jacson scale의 전자의무기록의 활용면에서 불완전 대응관계를 보인 신체활동과 위생을 제외한 여덟 항목을 전자의무기록에서 발견할 수 있어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미 간호사에 의해 저장되고 있는 자료들은 자동 입력되고 간호사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만 입력할 수 있도록 보완한다면, 모든 항목을 간호사가 직접 기록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이중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업무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욕창 발생 고위험대상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 등을 통해 욕창이라는 간호결과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한 욕창발생위험사정도구의 전자의무기록 활용 평가-
dc.title.alternativeEvaluation of EMR use for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s In ICU pati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 K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