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471

Cited 0 times in

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시행 후 상행지의 골 개조 양상 관한 후향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재민-
dc.date.accessioned2015-12-24T08:48:40Z-
dc.date.available2015-12-24T08:48:4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275-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시행 후 상행지의 골 개조 양상 관한 후향적 연구본 연구의 목적은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후 골편간에 발생하는 형태 개조를 시기에 따른 방사선 사진을 통해 관찰하여, 시기별 경과시의 골 유합 및 골 개조 양상을 파악하고 치유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술식을 시행한 100명의 환자, 양측 상행지 200개를 대상으로 수술 직후, 술 후 6, 12 개월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후 전방 두부 규격화 사진을 이용하여 하악골 상행지 부위의 형태 개조 현상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수술 직후 하악골 상행지의 근 원심간 골편의 중첩 양상 및 술 후 6, 12개월간의 골 개조 현상은 매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비록 수술 직후에 같은 형태를 보일지라도 형태 개조는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2. 수술 직후 파노라마 사진에서 관찰된 근, 원심 골편간 상행지 하악각의 경우 5가지 유형을 보였으며, 수술 후 형태 개조는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술 후 12개월에서 67.5%가 정상적인 하악각의 형태를 보였고, 9%가 가골 형태, 23.5%가 일부 골 흡수 혹은 골 증식 형태를 보였다. 3. 수술 직후 파노라마 사진에서 관찰된 근, 원심 골편간 상행지 S-절흔의 경우 3가지 유형을 보였으며, 수술 후 형태 개조는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술 후 12 개월에서 75.5%가 정상적인 S-절흔의 형태를 보였고, 1%가 가골 형태, 23.5%가 일부 골 흡수 혹은 골 증식 형태를 보였다.4. 수술 직후 후-전방 두부 규격화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된 근, 원심 골편간 상행지 하악각의 경우 단일 유형을 보였으며, 수술 후 형태 개조는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술 후 12 개월에서 78.5 %가 정상적인 하악각 형태를 보였고, 3.5%가 가골 상태, 12%가 일부 골 흡수 혹은 골 증식 형태를 보였다.5. 형태 개조 현상은 술 후 6개월에서12개월까지 동일 형태로 유지되려는 경향이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가골 형태가 감소하는 대신 하악각에서는 골 증식 및 정상 형태가 증가하고 S-절흔에서는 정상 형태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6. 하악각과 S-절흔의 형태 개조를 비교해 보면, 하악각 부위는 골 증식 형태가 골 흡수 형태보다 많았으며, 골 증식 경향이 술 후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 증가한 것에 반해 S-절흔의 경우는 골 흡수 형태가 골 증식 형태보다 많았으나, 골 흡수 형태는 동일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는 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시행 후 상행지의 골 개조 양상에 관한2차원 평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연구로,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 등을 동반한 추가 연구가 시행된다면 술 후 골 개조 양상에 대한 좀더 심도 있는 결론 및 고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 시행 후 상행지의 골 개조 양상 관한 후향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retrospective study on the bone remodeling pattern of mandibular ramus after trans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