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 1297

Cited 0 times in

제1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 치료 후 치아 위치의 삼차원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진홍-
dc.date.accessioned2015-12-24T08:47:03Z-
dc.date.available2015-12-24T08:47:0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215-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현재 디지털 스캔된 모형을 가지고 진단 setup을 하는 여러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최근 교정 영역에서 삼차원 진단 프로그램의 발달로 치료 전후 모형 중첩을 통한 치열궁 폭이나 넓이, 치아 이동의 양상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하악 제1 소구치 발치 후 치아 교정 전과 후의 치아 모형을 laser scan하여 만든 digital model을 중첩하여 개별 치아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고 악궁 모양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진단 setup시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고 교정 및 선수술 치료 계획을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치아의 여러 기준점과 이들을 이용한 치관의 근-원심과 협-설측 치관 평면, 수평과 관상 및 시상 기준평면, 등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용하였으며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상악 모형과 맞물린 하악 모형을 스캔한 뒤 상악 모형을 중첩 기준으로 이용해 하악 모형의 교정 전-후 변화를 추적할 수 있었다. 2.치아의 위치 및 각도의 3차원 변화를 3D measurement와 projected measurement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였다. 3.제1 소구치 발치 후 상악 전치부(중절치, 측절치, 견치)는 구개측으로 기울어졌으며 중절치가 가장 크게 기울었고, 구치부(제2소구치, 제1대구치)는 협측으로 기울어졌다. 하악에서는 전치부가 상악과 비슷한 변화를 보인데 반하여 구치부는 설측으로 기울어졌다. 이에 따라 악궁형태는 V 형태에서 U 형태로 변화하였고, curve of Spee는 감소하였다.4.상악 측절치 및 견치는 제1소구치 발치와 공간으로의 원심 회전,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는 근심 회전을 보였다. 하악에서도 비슷하게 측절치의 원심 회전, 제2소구치의 근심 회전을 확인하였다.5.상악에서 중절치, 측절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가 맹출되었으며 제2소구치는 함입되었다. 하악에서는 제2대구치가 함입되었다.본 연구에서 제1 소구치 발치를 통한 교정전 모델과 교정후 모델의 구개부 중첩을 통해 교정 치아이동 패턴을 파악하여 진단 setup을 시행할 때 필요한 치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제1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 치료 후 치아 위치의 삼차원 분석-
dc.title.alternative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after extraction of first premola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n H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