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556

Cited 0 times in

벡터를 이용한 하악골의 3차원 구조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남규-
dc.date.accessioned2015-12-24T08:45:48Z-
dc.date.available2015-12-24T08:45: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166-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하악골은 두개안면영역의 하방 영역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이러한 하악골의 비정상적인 성장은 악안면기형 및 부정교합의 주된 부분으로 고려되며, 하악골 후퇴증 또는 전돌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악교정 수술을 위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에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하악골의 형태 및 하악골 후퇴증 또는 전돌증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3D CT를 이용하여 하악골의 입체 형태 및 성장 양상을 실제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3D CT를 이용한 하악골 분석은 기준점의 위치, 크기, 방향, 형태 등이 개별적으로 비교분석만 되어 2차원적 분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악골의 발생 및 성장 이론을 바탕으로 정상 및 하악골기형 환자에서의 하악골을 이루는 기준점의 위치, 크기, 방향을 동시적으로 비교 분석하여야 3차원 공간 상의 하악골의 형태 이상을 원인과 함께 분석하고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Moss가 제시한 하악골을 이루는 기능 단위별로 크기와 방향값을 동시에 지니는 벡터를 설정하였으며 벡터 분석 및 연산을 통해서 정상대조군, 하악골 후퇴증, 하악골 전돌증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비대칭이 없는 정상대조군 17명, 하악골 후퇴증군 26명, 하악골 전돌증군 24명을 대상으로 양측 하악골 기능단위 벡터의 크기와 방향코사인, 벡터간 사잇각을 연산하여 C3평면에 대한 menton의 위치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하악골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작부위에 해당하는 하악과두는 정상대조군, 하악골 후퇴증, 하악골 전돌증간 명확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하악골 후퇴증에서 좀더 전상방에 위치하였다. 하악골 기능 단위 벡터의 크기는 오훼돌기와 하악각 벡터를 제외하고, 정상대조군, 하악골 후퇴증, 하악골 전돌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3평면과 CF1Me평면의 사잇각 간 상관성은 과두돌기, 하악체, 정중부 순으로 높은 관계를 보였다. 기능 단위 벡터의 방향은, 사후 검정 결과 과두돌기 벡터에서 정상대조군, 하악골 후퇴증, 하악골 전돌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른 기능 단위 벡터는 하악골 후퇴증 만이 다른 군에 비하여 명확한 차이를 보이고 정상대조군과 하악골 전돌증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3평면과 CF1Me평면의 사잇각 간 상관성은 하악체, 과두돌기. 정중부 순으로 높은 관계를 보였다. 기능 단위 벡터의 관계를 고려할 때, 합/차벡터의 크기들은 정상대조군, 하악골 후퇴증, 하악골 전돌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두부, 하악체, 정중부 벡터의 합이 C3평면과 CF1Me평면의 사잇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능 단위 벡터 간의 사잇각은 대부분 수평평면에 투영된 상의 사잇각이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C3평면과 CF1Me평면의 사잇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상평면 또는 관상평면에 투영된 상의 사잇각은 정상대조군, 하악골 후퇴증, 하악골 전돌증 간의 유의할 만한 차이가 적었으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을 고려하였을 때 하악골 전돌증은 과두돌기의 방향과 과두돌기, 하악체 벡터의 크기 이상이 주된 요인이며 하악골 후퇴증에서 수평평면에서의 각 기능 단위 벡터의 작은 사잇각 및 하악골 전체의 후하방 회전이 주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하악골 기능 단위 벡터의 분석은 크기 및 방향, 각 벡터간 사잇각으로 하악골의 전후방적 성장양상을 잘 표현할 수 있었고, 기형의 원인을 추론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따라서 하악골 기능단위 벡터 분석법은 하악골 발육성 기형의 진단 및 수술 계획 수립에서 단순한 구조적 분석을 넘어 환자 개개인의 하악골 기형의 원인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술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병인론적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임상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벡터를 이용한 하악골의 3차원 구조 분석-
dc.title.alternativeVector based 3D analysis of mandibular patter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Nam Ky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