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호흡이 곤란한 응급 환자에게 시행한 ED-BLUE (Emergency Department-Bedside Lung Ultrasound in Emergency) protocol의 유용성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진 | - |
dc.date.accessioned | 2015-12-24T08:38:04Z | - |
dc.date.available | 2015-12-24T08:38:04Z | - |
dc.date.issued | 2012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863 | - |
dc.description | 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목적 : BLUE protocol은 중환자실에 입원이 필요한 급성호흡부전의 훌륭한 진단도구로 알려져 있다. 응급상황에서는 호흡곤란의 원인이 심장인지에 대한 감별도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BLUE protocol에 심장을 포함하여 ED-BLUE protocol이라고 하였으며,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응급환자에서 ED-BLUE protocol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방법: 1단계, 2단계에서 폐 미끄럼 현상, A-line, B-line의 인공물, 폐포 경화, 흉막삼출의 유무를 폐 초음파를 통해 검사하고, 그 다음 심장에서 3E(심낭삼출액이나 심낭압전의 유무, 우심실확장소견의 유무, 좌심실 구혈율의 시각적 평가)를 확인하였다. ED-BLUE 알고리즘에 의해 분류되는 총 10가지의 카테고리를 만들고 최종진단명들도 이와 동일한 카테고리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정상 또는 결론이 도출되지 않는 경우, 2) 폐색전증, 3) 기도질환(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천식), 4) 공기가슴증, 5) 대량의 흉막 삼출물에 의한 호흡곤란, 6) 폐렴, 7) 수축기능이 저하된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급성 폐부종, 8) 급성호흡곤란증후군, 9) 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악화, 10) 심장막삼출 또는 심장압전이 동반된 심장막삼출로 분류하고, 최종진단명과의 일치도를 kappa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결과 : 이 연구는 25개월간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172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ED-BLUE 후와 최종진단명의 kappa값은 0.812 였다. ED-BLUE protocol 전후의 진단 확신도는 3.09±0.83에서 4.36±0.70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결론 : ED-BLUE protocol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명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호흡이 곤란한 응급 환자에게 시행한 ED-BLUE (Emergency Department-Bedside Lung Ultrasound in Emergency) protocol의 유용성 | - |
dc.title.alternative | Usefulness of emergency department-bedside lung ultrasound in emergency (ED-BLUE) protocol for patients complaining of dyspne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 Jin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