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1683

Cited 0 times in

입원 환자의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malnurition screening tool for hispitalized patients 
Authors
 임소진 
Issue Date
2012
Description
역학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은 재원기간, 의료비용, 감염율, 합병증 발생율 그리고 사망률 증가와 연관이 있으며, 영양상태가 양호한 환자에 비해 영양불량이 심환 환자일수록 감염율, 합병증 발생율이 증가하여 재원기간, 의료비용이 상승하고, 사망률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영양불량 환자는 약 40%가 입원 당시부터 영양불량 상태이며, 그 중 75%가 재원기간 동안 영양상태가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입원 초기 영양불량 위험을진단하고 영양불량으로 진단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영양관리의 중요성이강조되었다. 20여 년 전부터 입원 초기 영양불량을 진단하기 위한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에 대한 개발이 국내․외에서 이루어져 왔다. 타당도가검증된 국내․외의 대표적인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들이 있지만 환자 질환의 다양성이나 중증도, 규모 등 대상이 다르며, 의료기관 운영 시스템이달라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를 사용하는 데 많은 제한점이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본원 입원 환자의 특성을 반영하며,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불량 위험에 대한 진단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영양판정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새로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개발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422명의 20세 이상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와 PG-SGA, NRS 2002를 이용하여 영양불량 스크리닝을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대상자를 PG-SGA와 NRS 2002로 영양상태를 분류한 결과 영양상태 양호군에 비해 영양불량 위험군에서 평균 연령, 65세 이상의 환자 비율, BMI 18.5kg/m2 미만 환자의 비율, 체중 감소 발생 건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BMI와 평균 혈청 알부민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입원시 진단명에 따라 입원 시 영양상태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2)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 영양불량스크리닝 도구를 구성하는 영양불량 스크리닝 지표의 영양상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구성요소인 %표준체중,혈청알부민, 총임파구수는 영양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양불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나이와 체중 감소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와 PG-SGA, NRS2002에의한 영양불량 스크리닝 결과를 비교하였다. PG-SGA에 의한 결과와의 비교에서는 민감도 98.8%, 특이도 6.8%, kappa index 0.0238로 나타났으며,NRS 2002에 의한 결과와의 비교에서도 민감도 96.6%, 특이도 7.3%, kappaindex 0.0325로 나타났다.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에 의한 결과는 타당성이 입증된 기준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에 의한 결과와 비교 시 민감도는 높으나 특이도가 낮고, 일치도 검증의 kappa 지수가 높지 않아 새로운 영양불량 검색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3. PG-SGA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영양불량 스크리닝 지표로는 연령,체질량지수, 혈청알부민, 총임파구수, 체중 감소 유무, 진단명의 6가지 항목이 선정되었다. 4. 선정된영양불량 스크리닝 지표와 PG-SGA 결과와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회귀분석 모형식(model)을 구하였고, 이를 이용한 영양불량 예측 확률(P)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Model=0.9275*Age+0.7540*BMI-0.9849*Albumin-0.00065*TLC+2.2703*weight Loss+0.7734*Diagnosis-0.7593P(Malnourished)=exp(model)/[1+exp(model)]5. 설정된 회귀분석 모형식에 따라 각 대상자에게 영양불량이 될 확률(P)을부여한 후 PG-SGA에 따른 평가 결과와 대비하여 민감도 80%, 특이도69%인 영양불량이 될 확률(P) 0.1492를 영양불량 기준점으로 정하였다.6.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와의 비교 평가 시 새로 개발한 영양불량스크리닝 도구의 AUC는 0.831로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AUC0.667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새로 개발된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양성예측도는 35%로 기존 영양불량 스크리닝 도구의 양성예측도 21%보다 높게 나타났고 음성예측도는 94%, 95.8%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8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