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7 623

Cited 0 times in

상악동저 골증강을 위해 사용된 혈소판 농축혈장과 Tisseel의 비교실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천의-
dc.date.accessioned2015-12-24T08:37:41Z-
dc.date.available2015-12-24T08:37:4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84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상악동 골 이식술은 상악동 점막을 거상하고 상악동에 골 이식을 시행하는 기법으로, 상악 구치부의 수직적 골 높이를 증가시켜 충분한 길이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동 골 이식술을 위한 골 이식재료로서 Bio-OssⓇ를 혈소판 농축 혈장 또는 TisseelⓇ과 혼합하여 복합체를 만들어 이식하였을 때, 이들 두 개의 복합체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골을 형성하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6마리 성견 실험견의 상악 소구치와 대구치 발거 3개월 후, 상악동 점막을 거상하고 거상된 상악동 점막하방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즉시, 우측 상악동에는 혈소판 농축혈장과 bovine bone혼합물을 주입하였고, 좌측 상악동에는 상품화된 fibrin glue인 TisseelⓇ 과 bovine bone을 혼합물을 이식하였다. 6개월의 치유기간 후 상악동내 임플란트 주위에서 신생골 형성비율과 골-임플란트 유착비율을 평가하였다. 임플란트와 신생골 간의 골유착률은 혈소판 농축혈장과 Bio-OssⓇ 혼합물을 주입한 군에서는 43.5± 12.4%를 나타냈으며, TisseelⓇ과 Bio-OssⓇ 혼합물을 주입한 군에서는 30.7± 7.9%를 나타냈다. 임플란트 주변에 형성된 신생골 면적률은 혈소판 농축혈장(platelet-rich plasma)과 Bio-OssⓇ 혼합물을 주입한 군에서는 41.8± 5.9%를 나타냈고, TisseelⓇ과 Bio-OssⓇ 혼합물을 주입한 군에서는 31.3± 6.4%를 나타냈다. 두 집단 간에 이룬 골유착률과 형성된 신생골의 면적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결론적으로 Bio-OssⓇ 입자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시 TisseelⓇ 보다 혈소판 농축혈장을 함께 사용할 경우 임플란트 주위 신생골 형성비율과 임플란트-골 유착률을 높일 수 있는 재료임을 보여주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상악동저 골증강을 위해 사용된 혈소판 농축혈장과 Tisseel의 비교실험-
dc.title.alternativeComparision of platelet-rich plasma and Tisseel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 an experimental stud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Chon Eu-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