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887

Cited 0 times in

석면함유건축물 해체 제거 과정에서의 석면노출 위해성평가

Other Titles
 Exposure e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of airborne asbestos from demolition and removal work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Authors
 김동오 
Issue Date
2012
Description
환경보건학과/석사
Abstract
석면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200만 톤 이상 생산되어 사용되어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1930년대 중반 이후부터 최근까지 석면의 생산 및 수입을 통해 건축자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석면의 유해성이 알려지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등 에서 석면을 발암물질로 지정하여 사용을 금지하기 시작하면서 석면의 사용량은 줄어들고 있으나 기존에 사용되었던 석면함유건축물에서의 생활, 해체․제거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석면, 석면광산주변의 자연발생석면(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및 비의도적인 석면함유물질의 사용에 따른 석면노출이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면함유건축물을 재건축 또는 구조 변경을 위해 해체․제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석면의 양을 평가하고, 석면노출량을 활용하여 다양한 가정조건에서 해체․제거작업자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여 초과발암위해도(Excess Lifetime Cancer Risk, ELCR)를 추정함으로써 해체․제거작업 시 적절한 호흡보호구 착용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제도적 규제에 의한 현재의 석면관리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석면에 노출되는 인구집단을 보호할 수 있는 위해성평가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석면이 함유된 주거시설, 산업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의 해체․제거현장에서 근로자를 대상으로 총 54개의 개인 시료를 채취하여 위상차 현미경(Phase Contrast Microscope, PCM)을 이용하여 국립직업안전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NIOSH)의 분석방법인 NIOSH 7400의 "A"계수법에 의해 분석하였다.석면해체․제거작업장을 대상으로 작업자에 대한 석면노출평가 및 위해성평가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첫째, 주거시설에서 측정된 작업 중 석면노출 농도분포는 0.007~0.096개/cc 이었으며, 평균노출농도는 0.060개/cc로 나타났다. 산업시설에서 측정된 석면노출 농도분포는 0.001~0.072개/cc 이었으며, 평균노출농도는 0.023개/cc로 나타났고, 다중이용시설에서 측정된 석면노출 농도분포는 0.002~0.075개/cc 이었으며, 평균노출농도는 0.020개/cc로 나타났다. 주거시설의 석면해체․제거작업 시 측정최고농도 및 평균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시설과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석면노출농도는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평균농도 및 최고농도를 이용한 결정론적위해도 추정결과 평균농도에서는 1일 8시간 1년 250일 작업할 경우 30세에 석면에 처음 노출되어 60세까지 30년간 석면에 노출되는 근로자와 40세에 석면에 처음 노출되어 60세까지 20년간 석면에 노출되는 근로자에 대해서 ELCR값이 1.26×10-4~6.80×10-4으로 미국 환경보호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 권고하는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최고농도에서는 1일 2시간 1년 250일 작업하는 경우에도 30세에 석면에 처음 노출되어 60세까지 30년간 석면에 노출되는 근로자와 40세에 석면에 처음 노출되어 60세까지 20년간 석면에 노출되는 근로자에 대해서 ELCR값이 1.22×10-4~2.91×10-4으로 나타나 EPA에서 권고하고 있는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석면 해체․제거과정에서의 노출기준인 0.1개/cc를 적용하여 ELCR값을 추정해 본 결과 30세에 석면에 처음 노출되어 60세까지 30년간 1일 1시간 1년 250일 작업할 경우 ELCR값이 1.66×10-4으로 EPA에서 권고하는 수준을 초과하였고, 50세에 석면에 처음 노출되어 60세까지 10년간 작업할 경우에도 1일 4시간 1년 250일 작업할 경우 ELCR값이 1.20×10-4으로 EPA에서 권고하는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마스크 효율별로 효율이 80% 수준인 2등급 안면부여과식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와 효율이 99.97% 이상의 특급 고효율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마스크를 착용한 경우의 ELCR값 평가에서는 안면부여과식마스크를 착용하고 본 연구의 측정최고농도에서 석면해체․제거작업을 할 경우 30세에 처음 작업을 시작하여 60세까지 30년간 작업하는 경우 각 시설별 ELCR값의 분포가 1.87×10-4~2.33×10-4으로 EPA에서 권고하는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HEPA filter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할 경우 어떠한 작업가정조건 에서도 EPA에서 권고하는 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다.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석면 해체․제거작업 시 적절한 보호구착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고, 석면은 그 유해성이 잘 알려져 있으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석면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관리방법의 보완이 시급한 현실이며, 현재의 제도적 관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보다 효율적인 석면관리 및 석면에 노출되는 인구집단에 대한 보호방안 마련을 위한 위해성평가의 실시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1867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6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