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2 906

Cited 0 times in

로봇 보조 복강경 전립선 적출술 후 요자제 획득

Other Titles
 Urinary continence after robot 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uthors
 유호송 
Department
 Dept. of Urology (비뇨의학교실)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목적: 현재 국내 남성 암 중 전립선암이 5위를 차지할 만큼 그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해 왔으며 최근 로봇이 수술에 도입되어 로봇을 이용한 전립선 적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로봇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수술 후 요실금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 보조 복강경 전립선 적출술 후 요실금의 빈도와 요자제 획득에 기여하는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요실금을 평가하는 데 있어 인터뷰와 설문지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확인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전립선암으로 한 명의 술자에 의해 로봇 보조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을 시행받은 862명 중 수술 후 1년 이상 외래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고 요실금에 대한 인터뷰 내용이 명확히 기록된 5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소암 뿐만 아니라 진행성 암 환자도 모두 분석하였다. 인터뷰 결과 패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되었을 때를 요자제 획득으로 판단하였고 safety liner 1장이라도 사용하는 경우 요실금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요자제 획득군과 요실금 지속군 간의 수술 전, 중, 후의 인자들과 병리 결과, 요역동학 검사 결과, 요실금에 대한 인터뷰와 설문지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요자제 획득률은 545명 중 421명(77.2%)였으며, 이 중 378명(69.4%)은 1년 이내에 요자제를 획득하였다. 국소암 환자로 국한시키면 404명 중 331명(81.9%)가 요자제를 획득하였다. 요자제 획득군에서 요실금 지속군에 비해 수술 당시 나이가 젊고(63.0±7.5세 vs 67.3±7.0세, p<0.0001), 수술 전후의 Gleason 점수 낮았고(p=0.001, p=0.001), 임상적 병기가 낮았다(p<0.0001). 또한 신경혈관다발을 보존한 경우가 많았으며(p<0.0001) 방광 경부를 보존한 경우가 많았다(p=0.004).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에서 배뇨근 과활동성을 보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요실금 지속의 빈도가 높았다(p=0.015). 인터뷰를 통해 요자제 획득으로 판단한 사람도 ICIQ 설문지 결과 요실금의 빈도와 양이 완벽하게 없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21.7%, 23.0%였으며 이 두 항목 모두 0점인 사람은 18.9%였다.결론: 수술 당시 나이가 많고 조직검사의 Gleason 점수가 높고 진행성 암이며 술 전 요역동학 검사에서 배뇨근 과활동성을 보인 환자는 수술 후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요자제 획득의 가능성이 떨어진다. 또한 주치의가 기록하는 인터뷰 결과와 환자가 작성하는 설문지의 결과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요실금에 대한 설문지 평가를 시행하여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01179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Urology (비뇨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Yu, Ho Song(유호송)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5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