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5 504

Cited 0 times in

하악 구치부에 식립된 Bra}nemark 임프란트와 ITI 임프란트에서 임프란트간 치조정간골의 높이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비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화-
dc.date.accessioned2015-11-22T07:52:22Z-
dc.date.available2015-11-22T07:52:2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833-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임상에서 많이 상용되고 있는 임플란트 중 그 설계나 식립방법, 보철수복 방법 등이 상이한 Branemark 임프란트와 ITI 임프란트를 하악 이공 후방의 구치부에 2개 이상 식립하여 임프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한 환자에서 각각의 임프란트와 임프란트간 거리에 따른 치조골의 높이와 각도를 측정한 후 두 임프란트 시스템간의 차이로 인해 임프란트 성공의 객관적 지표중에 하나인 치조골 높이나 형태의 변화 양상에 유의차가 있는지와 임프란트 고정체간의 거리에 따라 연간 변화량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환자의 1년 단위 정기 검사시에 표준화된 구내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고 이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임프란트 주위 변연골과 치조정간골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① ITI 와 Branemark 임프란트 시스템간의 비교시 1년, 2년 경과한 시점에서 고정체간 거리에 관계 없이 ITI 임프란트가 고정체 주위 변연골 및 치조정간골의 연간변화량이 작았으나 3년 경과시점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② 고정체간 거리 4mm 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ITI 임프란트는 4mm 이내인 경우 1년 경과 시점에서 변연골 및 치조정간골의 연간 흡수량이 더 컸으나 2년, 3년 경과 시점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Branemark 임프란트는 1년, 2년 경과 시점까지는 4mm 이내인 경우가 변연골 및 치조정간골의 연간흡수량이 컸으나 3년 경과 시점에서의 연간 변화량은 유의차가 없었다(p>0.05). ③ 임프란트 고정체와 변연골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근심쪽, 원심쪽 모두 ITI 임프란트가 평균적으로 더 작은 각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연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두 시스템간에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05). 이상과 같이 Branemark 임프란트가 ITI 임프란트에 비해 식립 후 보철물을 장착하여 기능하는 시점부터 1년 내지 2년경과 시점까지 더 큰 변연골 및 치조정간골의 연간 흡수량을 나타냈으며 그 이후에는 연간 흡수량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임프란트 식립 및 보철물 장착후 1년 내지 2년 사이에 일어나는 초기의 골흡수량 차이가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좀 더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영문]Branemark or ITI are two currently most widely used implant systems but with contrasting design, surgical and restor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and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ne height and shape which may rise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wo implant systems. Also to analyse the effect of inter-implant distance on annual bone height changes. Thos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wo or more of either Branemark or ITI implants at posterior mandibular area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Implant Clinic were selected. At annual examination appointments, standardised radiographs using parallel technique were taken. Marginal bone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changes were measured and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When ITI and Branemark system were compared, both annual marginal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height changes in ITI system in the first two years were smaller than Branemark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third yea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implant systems on their annual bone level changes (p>0.05). 2. The Marginal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changes were compared when Inter-implant distance was less than 4mm. Statistically significant bone level changes were noted on the first year only for ITI implants bu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for Branemark implants (p>0.05). 3. When comparing angulation changes between marginal bone and implant fixture, ITI system had smaller angulation changes but the annual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Branemark implant systems had more changes in marginal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level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after loadin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see the effects of these bone loss during the frist and second year after loading on the long term prognosis of Branemark Impla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하악 구치부에 식립된 Bra}nemark 임프란트와 ITI 임프란트에서 임프란트간 치조정간골의 높이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비교-
dc.title.alternative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proximal bone level between two implants : a 3-year-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