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6 871

Cited 0 times in

직장암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date.accessioned2015-11-22T07:51:28Z-
dc.date.available2015-11-22T07:51:2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800-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직장암은 암치료와 관련되어 장루가 형성되거나, 장루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잦은 배변등의 문제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장암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의 명확한 규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암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2003년 10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일병원에서 직장암 환자 108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EORTC QLQ C30, CR38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적 통계, χ2 test, Pearson Correlation, One way ANOVA, Two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반적 삶의 질은 62.73점을 나타내었다. 2. 성별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남성 63.05점으로 여성 61.97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성생활과 관련된 ‘성기능’(t=5.851, p<.001)과 ‘성적 즐거움’(t=4.873, p<.001)과 ‘신체기능(t=2.546, p=.012)’ 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3. 연령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60세 이하대상자가 59.72점으로 60세 이상 대상자 67.46점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역할기능’(t=-2.479 p=.015), ‘정서기능’(t=-3.088 p=.003), ‘사회기능’(t=-3.184 p=.002), ‘신체상’(t=-3.719 p=<.001)에서 60세 이상대상자가 60세 이하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증상영역중의 ‘피로’(t=2.024 p=.046), ‘위장문제’(t=2.340 p=.021)에서 유의하게 60세 이하대상자에서 더 높았다. 4. 치료시점에 따른 전반적인 삶의 질은 치료전 55.90점, 치료중 59.58점, 치료종료후 69.31점으로 유의한 차이(F=3.337, p=.039)를 보였고, 기능영역중의 ‘역할기능’(F=4.335, p=.016), ‘사회기능’ (F=3.891, p=.023), ‘신체기능’ (F=4.320, p=.016), ‘미래에 대한 인식’ (F=4.114, p=.019), ‘성기능’ (F=3.317, p=.0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증상영역중의 ’피로‘ (F=7.161, p=.001), ’수면장애‘(F=5.006, p=.008), ’통증‘(F=7.276, p=.001), ’변비‘(F=23.981, p<.001), ’설사‘(F=5.995, p=.003), ’오심구토‘(F=11.010, p<.001), ’식욕저하‘(F=12.221, p<.001), ’경제적 어려움‘(F= 6.444, p=.002), ’위장문제(F=3.729 p=.027),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F=5.958, p<.001), ’체중감소‘ (F=6.256, p=.003), ’남성 성기능 문제‘ (F=4.796, p=.01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장루유무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장루가 없는 대상자가 69.36점으로 장루가 있는 대상자 69.16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신체상’(t=-3.024 p=.004)은 장루가 없는 대상자가 장루가 있는 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6. 수술방법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저위전방술과 회장루의 복원술을 받은 대상자가 70.55점, 복회음 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가 69.16점, 저위전방술을 받은 대상자는 68.42점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신체상‘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4.643 p=.015), 사후검정의 결과 복회음 절제술과 저위전방술 대상자간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 결과였다. 7. 복원술 전후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복원술 전 대상자가 59.11점, 복원술후 대상자가 70.55점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사회기능’(t=-2.251 p=.029), 신체기능(t=-2.918 p=.005), 성기능(t=-2.523 p=.022)은 복원술 후 대상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증상영역중의 ’피로‘(t=2.990 p=.005), ’오심구토‘(t=3.218 p=.002), ’식욕저하‘(t=3.940, p<.001), ’경제적 어려움‘(t=4.122 p<. 001),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t=4.811 p<.001)은 복원술 전 대상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변비’(t=-2.308 p=.036)는 복원술 후 대상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8. 방사선치료 시기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수술전에 방사선을 받은 대상자가 75.69점, 수술후에 방사선을 받은 대상자 66.92점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신체기능’(t=2.170, p=.037)은 수술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대상자에서 더 높았다. 9. 치료종료후 경과기간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6개월미만 대상자가 66.20점, 6개월이상 대상자가 71.47점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인지기능’(t=-2.142 p=.038)에서 6개월이상 대상자가 더 높았다. 10. 활동정도에 따른 전반적 삶의 질은 ECOG 0 대상자는 78.98점이었고 ECOG 1-2 대상자는 58.73점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영역중의 ‘신체상’(t=2.542 p=.016), ‘미래에 대한 인식’(t=2.375 p=.024), ‘성기능’(t=3.696 p=. 001)에서 ECOG0 대상자가 ECOG 1-2 대상자에 비해 높았고, 증상영역중의 ‘통증’(t=-2.394 p=.021), ‘오심구토’(t=-2.801 p=.010), ‘위장문제’(t=-2.063 p=.047), ‘배변문제’(t=-2.452 p=.020)는 ECOG0 대상자가 ECOG1-2 대상자에 비해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직장암 환자에서 EORTC QLQ C30, CR38로 측정한 전반적 삶의 질은 62.73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으로 성별, 연령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치료시점, 장루유무, 수술방법, 방사선치료 시기, 활동정도 등의 질병관련 특성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직장암 환자의 간호중재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위의 관련 변수들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QOL)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From October 2003 to December 2003, one-hundred eight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ere enrolled in colorectal cancer clinic.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LQ-C30, and CR38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health-related QOL.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f QOL of all patients was lower compared with historical data. 2.The scores of QOL in Sexual-Function(t=5.851, p<.001), Sexual- Enjoyment (t=4.873, p<.001) and Physical-Function (t=2.546, p<.001) wer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3.The scores of QOL in Role-Function (t=-2.479, p=.015), Emotional- Function (t=-3.088, p=.003), Social-Function (t=-3.184, p=.002), Body- imaging(t=-3.719, p<.001), Fatigue (t=2.024, p=.046), Gastrointestinal- Problems (t=2.340, p=.021) were higher in older patients (≥60) than in younger patients(<60). 4.The score of QOL of patients after treatment was the highest than in the other group (F=3.337, p=.039). 5.The scores of QOL in Body-Imaging (t=-3.024, p=.004) were higher in nonstoma-patients than in stoma-patients. 6.The scores of QOL in Social-Functioning (t=-2.251, p=.029), Physical- Functioning (t=-2.918, p=.005), Sexual-Function(t=-2.523, p=.022), Fatigue (t=2.990, p=.005), Nausea-Vomiting (t=3.218 p=.002), Appetite Loss (t=3.940 p<.001), Financial-Problem (t=4.122, p<.001), Chemotherapy Side effects (t=4.811, p<.001)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ileostomy than in patients after ileostomy repair. 7. The scores of QOL in Physical-Function (t=2.170, p=.005) were higher in pre-operative radiotherapy patients than in post-operative radiotherapy patients. 8. The scores of QOL in Cognitive-Function (t=-2.142, p=.038) were higher in group with six month or longer fillow-up period after treatment than shorter. 9.The scores of QOL in Body-imaging(t=2.542, p=.016), Future- Perspective(t=2.375, p=.024), Sexual-Function(t=-3.696, p=.001), Pain (t=-2.394, p=.021), Nausea-Vomiting (t=-2.801 p=.010), Gastrointestinal- Problems (t=-2.063, p=.047), Defecation-Problems (t=-2.452, p=.020) were higher in group with ECOG PS 0 than ECOG PS 1-2. In conclusion, effective nursing management may be achieved when these factors are individually considered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직장암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
dc.title.alternative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un Ky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