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3 497

Cited 0 times in

복합 레진을 이용한 간접수복에서 기저재가 변연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인복-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9:52Z-
dc.date.available2015-11-22T07:49:5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42-
dc.description의과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간접 수복 레진 인레이는 범위가 큰 와동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진 수복물로 선호되어 왔지만 직접 레진 수복물처럼 장기간 사용시는 변연 적합성이 저하되며 여러 방법들이 레진의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 실험의 목적은 기저재에 따른 2급 MOD 와동의 복합 레진 인레이(Tescera ATL system)의 변연적합도 변화를 in vitro로 보는 것이다. 발거된 치아에 AELITEFLO, Dyract AP, Fuji II LC improved 등을 기저재로 사용하였고 대조군에는 기저재 없이 복합 레진 인레이로만 수복하였다. 구강저작재현장치(R&B, Korea)로 720000회의 운동횟수, 분당 120의 회전속도, 5℃와 55℃의 물을 교대로 치아에 6000회 주사하면서 5.0kg의 하중을 치아에 적용하였고 실험 전후 변연적합도를 전체와 부위별 변연으로 나누어서 x200 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변연은 교합부, 법랑질과 상아질의 치경부 변연부, 각 치경부 변연부의 수직 변연부등 다섯부위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전체 변연적합도에서와 부위별 변연적합도에서의 저작 전후의 분석은 각각 t-test와 Wilcoxon test로 하였고, 재료별 차이와 부위별 차이는 one-way ANOVA로 측정 후 Tukey’s 방법으로 다중비교하였고 95%의 신뢰성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모든 군에서 저작 후는 변연적합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상아질 치경부 변연부에서는 기저재를 사용한 모든 실험군은 사용하지 않은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여주었으나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Composite inlays are indicated for large cavities and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Class II resto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 vitro the marginal adaptation of class II (MOD) composite inlays in vitro (Tescera ATL system, Bisco) made with or without base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Extracted human lower mola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base was made from Aelite Flo, Dyract AP or Fuji II LC improved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group had no base. Before and after mechanical loading(720000 cycles, with a force 5.0 kg and 6000 thermocycles of 5° and 55°C) with a chewing simulator, the marginal adaptation was assessed by a x200 microscope. The marginal adaptation was quantified along the entire margin and along the selected sections of the margin (Occlusal, Proximal enamel, Proximal dentin, Cervical enamel and Cervical dentin.) The experimental data of before and after loading were analyzed with t-test for the entire margin and Wilcoxon test for the selected sections and the experimental data between materials and between regions were analyzed with a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s Multiple Range Test at the 95% confidence level. Before and after load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se groups in every region but only in the dentin margin did all base groups after loading show a higher marginal adaptation than the non-base group.-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복합 레진을 이용한 간접수복에서 기저재가 변연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Marginal adaptation of indirect composite resin systems in three different base material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In B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