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8 524

Cited 0 times in

위암의 전이양상과 관련된 단백질 표지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준호-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9:48Z-
dc.date.available2015-11-22T07:49:4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40-
dc.description의과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전이는 암환자의 사망원인 중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위암의 경우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약 40%는 전이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전이의 가장 흔한 형태는 간과 복막전이로 각각의 경우 임상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며 그 기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전이와 관련된 단백질 표지자들을 이용해 간과 복막전이 간의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 표지자를 찾고자 하였다. 198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장막층을 침범한(T3 이상) 진행성위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가운데 수술 후 추적조사가 가능하였고 파라핀포매 조직 중 보관상태가 양호한 환자를 대상으로 추적관찰 도중 수술 후 5년 이내에 간이나 복막에 전이가 있었던 83명(전이군)의 환자들과 이들과 성별, 연령, 수술 당시의 병기 등이 유사하였으나 재발 없이 5년 이상 생존한 74명(대조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위암의 전이와 관계 있는 것으로 알려진 nm23, E-cadherin, MMP-2, MMP-7, MMP-9의 항체를 이용해 면역화학염색법으로 각 표지자들의 발현여부를 검사하여 전이양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nm23의 소실이 대조군에서는 72.1%, 전이군에서는 23.5%로 전이군에서 보다 많이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으며(p<0.001), MMP-7은 대조군에서는 발현이 않된 반면 전이군에서는 54.3%가 발현되었고(p<0.001), MMP-9은 대조군에서 53.6%, 전이군에서는 32.5%의 발현율을 보여(p=0.012)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과 전이군 사이에 발현율의 차이를 보인 세 인자 중 nm23는 간전이군에서는 66.7%의 소실율을, 복막전이군에서는 87.2%의 소실율을 보여 간과 복막전이 사이에서도 유의한 발현의 차이를 보였다(p=0.037). 전이여부에 대한 다변량 검사 상 림프절 전이 여부와 함께 단변량 검사에서 유의하였던 nm23, MMP-7, MMP-9 모두 유의한 인자로 밝혀졌으며 전이양상에 관한 다변량 검사에서는 성별과 nm23만이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성에서 nm23가 소실된 경우에는 복막전이를, 남성에서는 nm23가 소실된 경우 간전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nm23, MMP-7, MMP-9 등은 장막양성인 위암환자에게서 재발을 예측하는데 있어 통상적인 면역화학염색으로 쉽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이며 특히 nm23가 소실된 경우 여자에서는 복막전이가, 남자인 경우에는 간전이가 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등 재발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단백질 표지자이다. [영문]Metastasis is a chief cause of death in cancer patients. More than 40% of patients who undergo curative gastric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experience metastastases. Most of them have a liver or peritoneal metastasis within 5 years after curative resection. These patterns of metastasis show different clinical course but research for the mechanism of the patterns of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is r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 protein marker to discriminate liver or peritoneal metasta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ic resection for serosa positive gastric cancer. From January 1, 1987 to December 31, 1998,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ic resection for serosa positive gastric cancer and who followed completely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we selected 83 patients who experienced liver or peritoneal metastasis within 5 years after curative surgery and whose paraffin bloc that we had. And we also selected 74 patients who did not experience metastasis for 5 years matching sex, age and TNM stages at diagnosis.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bodies for nm23, E-cadherin, MMP-2, MMP-7, and MMP-9 those were known to be related with gastric cancer metastasis. As a result, nm23, MMP-7, and MMP-9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and nm23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to be able to discriminate liver or peritoneal metastasis. In case of female patients with loss of nm23, they tend to experience peritoneal metastasis, while in case of male patients with loss of nm23, they tend to experience liver metastasis. In conclusion, nm23 is a good protein marker for predict not only a presence of metastasis but also a pattern of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go curative gastric resec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위암의 전이양상과 관련된 단백질 표지자-
dc.title.alternativeProtein markers for predicting liver or peritoneal metastasis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n H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