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07

Cited 0 times in

활로 4징 완전 교정술 후 잔존하는 폐동맥 분지 협착에 삽입한 스텐트가 폐동맥 혈류역학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진-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8:48Z-
dc.date.available2015-11-22T07:48:4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0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활로 4징의 완전 교정술 후 잔존하는 폐동맥 분지 협착 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효과적으로 확장한 후, 본 연구에서 협착이 없었던 반대편 폐동맥 분지의 단면적이 감소하지 않음을 관찰한 바 있다. 이에 스텐트를 삽입한 후 폐동맥 분지 단면적과 폐동맥 폐쇄 부전, 우심실의 혈류역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 활로 4징 완전 교정 수술을 시행받은 환아들 중, 폐동맥 분지 협착이 잔존하여 1995년 1월부터 2003년 7월 사이에 혈관내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고, 추적 심도자 검사를 시행한 환아 2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스텐트 삽입 전?후로 심혈관 조영술, 도플러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폐동맥 부전을 측정하고, 폐관류 검사, 심전도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다. 결과 : 1) 좌폐동맥 협착으로 스텐트를 삽입한 후 좌폐동맥 지수는 116 ± 58 mm2/BSA에서 171 ± 84 mm2/BSA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 협착이 없었던 우폐동맥 지수의 변화를 보면, 좌폐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에 평균 232 ± 113 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249 ± 95 mm2/BSA로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p=0.06). 3) 폐관류 검사 결과는 협착부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의 24.3 ± 10.3 %에서 삽입 후에 39.3 ± 9.9 %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5) 폐동맥 폐쇄 부전 역류 분율 증감 정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크게 증가한 III군에서 우폐동맥 지수는 삽입 전 172 ± 87 mm2/BSA에서 추적 검사시 230 ± 57 mm2/BSA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 협착이 있던 좌폐동맥은 스텐트의 삽입으로 교정되어 단면적 지수가 증가할 뿐아니라 폐관류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반대편의 협착이 없었던 우폐동맥의 경우에는 잔존하는 폐동맥 폐쇄 부전이 심한 경우에는 단면적 지수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영문]Intravascular stent 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branch pulmonary artery(PA) stenosis has been used successfully. However, the pulmonary artery index(PAI) of contralateral branch PA does not regress in spite of the successful dilatation of the stenotic branch PA after stent implantation. We analyzed that the morphologic and hemodynamic factors on the size of branch PA after successful stent implant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our study were 23 children who had undergone stent implantaion from Jan. 1995 to Jun. 2003 in the Division of Yonsei Pediatric Cardiology. We evaluated the PAI of branch pulmonary artery before and after stent implantation at follow-up catheterization. We also investigated factors such as residual pulmonary stenosis, pulmonary regurgitation(PR), systolic pressure of right ventricle and left ventricle, electrocardiogram, and lung perfusion scan. Results : The RPAI without stenosis changed from mean 232 ± 113 mm2/BSA to mean 249 ± 95 mm2/BSA(p:NS), but didn''t regress. The LPAI with stenosis was increased effectively by stent implantation from the mean 116 ± 58 mm2/BSA to mean 171 ± 84 mm2/BSA(p<0.001). In group III with increased residual PR significantly, RPAI was increased by stent implantation from the mean from the mean 172 ± 87 mm2/BSA to mean 230 ± 57 mm2/BSA (p<0.05). Conclusion : In a group with increased residual PR, contralateral branch pulmonary artery index(RPAI)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pre- and post-stage of stent implantation. So, we suspect that the pulmonary regurgitation remaining after right ventricle outlet tract(RVOT) dilatation surgery i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in RPAI.-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활로 4징 완전 교정술 후 잔존하는 폐동맥 분지 협착에 삽입한 스텐트가 폐동맥 혈류역학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Hemodynamic effects of the pulmonary arteries after stent implantation on branch pulmonary artery st-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453-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미진-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