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3 638

Cited 0 times in

천막 절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성민-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8:18Z-
dc.date.available2015-11-22T07:48:1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68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목적 : 경천막 허니아 증후군은 두개강내 다양한 원인의 공간점유 병소가 뇌압 상승을 야기하여 뇌간부가 천막절흔으로 이동되거나 뒤틀려져 신경학적 이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신경외과적으로 중요시 된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다. 본 저자는 신경외과 환자들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뇌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이용하여 천막 절흔의 크기와 모양 등의 해부학적인 기초를 확립하고 천막 절흔의 형태에 따른 구회 허니아의 발생 및 예후 평가를 위한 인자로서의 선행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1월 1일부터 2002년 9월 30일 까지 원주기독병원 신경외과에 내원하여 뇌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던 환자 중 두개강내 공간점유 병소가 없었던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의 여러 영상면을 이용하여 1) T1 축면에서의 터어키안 배부의 넓이, 2) T1 관상면에서의 천막 절흔의 최대넓이, 3) T2 시상면에서의 터어키안 배부의 상후면에서의 절흔의 첨부까지의 거리, 4) T2 시상면에서 절흔의 첨부에서 정맥동 합류까지의 최단거리, 5) T2 시상면에서 중뇌 덮개에서 절흔의 첨부까지의 거리, 6) T2 시상면에서 터어키안 배부의 상후면에서 뇌각간오목까지의 거리와 7) T1 축면에서의 제3뇌신경간의 각도 등의 평균값을 알아보고, 천막 절흔의 최대 넓이와 터어키안 배부의 상후면에서의 절흔의 첨부까지의 거리의 사분위 분포 기술을 이용한 분류법을 이용하여 wide, narrow, long, short, typical, large, small, mixed로 분류하고,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대상 100명 중 남자는 64명(64%), 여자는 36명(36%)이었으며, 평균연령은 29.6세(2-62세)였다. 터어키안 배부의 넓이는 22mm와 22.3±4.4mm(12-32mm) 천막 절흔의 최대넓이는 33mm와 32.9 ± 3.6mm (28-39mm), 절흔의 첨부에서 정맥동 합류까지의 최단거리는 30mm와 30.4± 3.0mm (23 -36mm), 터어키안 배부의 상후면에서 절흔의 첨부까지의 거리는 56mm와 57.6±5.4mm(50-70mm), 중뇌 덮개에서 절흔의 첨부까지의 거리는 27mm와 25.2±4.8mm (12- 33 mm), 터어키안 배부의 상후면에서 뇌각간오목까지의 거리는 18mm와 18.0 ± 4.9mm (10-30mm), 제3뇌신경간의 각도는 50.4°와 50.8±6.9°(37.5-70.1°)였다. 남성의 경우에서 터어키안 배부의 넓이와 천막 절흔의 최대넓이와 절흔의 첨부에서 정맥동 합류까지의 최단거리와 중뇌 덮개에서 절흔의 첨부까지의 거리는 여성의 수치들에 비해서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17세이상의 경우에서 터어키안 배부의 넓이와 천막 절흔의 최대넓이만 16세 이하와 비교시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wide는 16명(16%), narrow는 11명(11%), long은 12명(12%), short는 12명(12%), typical은 17명(17%)이었고, wide와 long이 같이 존재한 형태인 large는 8명(8%), small은 12명(12%), wide와 short가 같이 존재하는 형태인 mixed는 4명(4%)이었으며, narrow와 long이 같이 존재하는 mixed는 8명(8%)이었다. 터어키안 배부의 상후면에서 뇌각간 오목까지의 거리의 일사분위와 삼사분위에 해당되는 14mm와 21mm를 기준으로 하여 14mm이하인 경우를 앞부분에 고정된 위치(prefixed position), 14mm에서 21mm사이를 중간에 고정된 위치(midposition), 21mm이상인 경우를 후방에 고정된 위치(postfixed position)라고 분류하면, 각각 31명(31%), 42명(42%), 27명(27%)이었다. 결론: 신경외과 환자들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뇌자기공명영상촬영을 이용하여 천막 절흔의 형태에 따라 중증 두부 손상 환자에서의 구회 허니아의 발생 및 예후 평가를 위한 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Objective :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s: 1. to measure anatomical basis for interpretation of the tentorial notch, oculomotor nerve and brainstem using MRI; 2.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tentorial notch. Methods :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2, we analized 100 patients with mild head injury and without space occupying lesion on the MRI. All imaging was made using a 1.5 tesla superconductive magnet(Gyroscan ACS-NT, Philips, Netherlands).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done: 1) anterior notch width(ANW); 2) maximum notch width (MNW); 3) notch length (NL) ; 4) posterior tentorial length (PTL); 5) interpedunculoclival (IC) distance; 6) apicotectal (AT) distance; 7) inter-third nerve angle, the angle between the third cranial nerves in the T1 axial plane. The quatile distribu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all measurements. Quatile groups defined by NL (mean 57.6�5.4mm) were labeled long, short, and midrange, and those defined by MNW(mean 32.9�.6mm) were labeled as wide, narrow, and midrange. Results : The patients were composed of men and women whose mean age is 29.6(2- 61) year of age. Mean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s �standard deviations into following variations: 1) ANW, 22.3 �4.4mm; 2)MNW, 32.9 �3.6mm; 3) NL, 57.6 �5.4mm; 4) PTL, 30.4 �3.0mm; 5) AT distance, 25.2 �4.8mm; 6) IC distance, 18.0 �4.9mm; 7) inter-third nerve angle, 50.8�.9� Using the variables NL and MNW to examine predominant structural features permitted typing of tentorial notches into categories of wide(16%), narrow(11%), long(12%), short(12%), and typical(17%). Notches that were both wide and long were labeled large (8%), and those that were narrow and short were labeled small (12%). The category of mixed notches (12%) was assigned to tentorial notches that were either wide/short (4%) or narrow/long (8%).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brainstem to the clivus was defined by the first quatile (14mm) and third quatile(21mm) of the IC distance. On the basis of this measurements, the terms "prefixed (31%)", midposition (42%)", and postfixed (27%) were applied to the brainstem position within the tentorial aperture. Conclusions :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as shown among morphometric parameters of the tentoral notches, brainstem, gender and age. The use of MRI to identify the type of tentorial notch and regional anatomy may help neurosurgical decision making.-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천막 절흔-
dc.title.alternative(The) tentorial notch : morphological analysi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Sung M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