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4 770

Cited 0 times in

공동개원 형태에 따른 의업생활의 질(QWL)과 만족도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Quality of Working Life(QWL), satisfaction, and efficacy by the forms of group practice 
Authors
 현숙정 
Issue Date
2003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공동개원을 하고 있는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개원형태와 운영형태에 따른 QWL, 공동개원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동개원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표자가 2인 이상인 전국의 의원급 의료기관 1,066개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동개원 의원의 개원형태는 의사수가 2명이 66.4%, 3명이 24.6%로 약 91%의 의원이 의사수가 2∼3명이었으며, 병상이 없는 의원이 약 44%이었다. 의사를 포함한 직원수는 평균 13.3명이었으며, 간호조무사가 4.45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약 74%의 공동개원의원이 2000년 이후에 개원을 하였으며, 동종 진료과목간의 개원이 70%로 이종 진료과목간의 개원보다 많았다. 공동개원의사와의 관계는 대학동문이 39%, 동일병원 수련이 30%이었고, 균등투자를 한 의원이 81%로 대부분 균등투자의 형태로 개원을 하고 있었다.

2. 공동개원 의원의 운영형태는 같은 진료시간대에 근무하는 의원이 55%, 같은 진료시간대에 근무하면서 일요일 및 휴일에만 교대로 근무하는 의원이 29%로 약 84%가 같은 진료시간대에 근무하고 있었으며, 수익배분은 정액으로 균등배분하는 의원이 64%이었다. 공동개원의사의 중도 탈퇴시 재산정리방법으로는 자산을 재평가하여 투자비율로 반환하겠다는 의원이 44%로 가장 많았으며, 중도 탈퇴시 재산정리규정이 없는 의원도 28%나 되었다.

3. 공동개원 의원의 개원형태에 따른 QWL은 개원규모가 클수록 높았으며, 단일진료과목이 복수진료과목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공동개원의사와의 관계가 친인척인 경우에 QWL이 가장 낮았다. 또한, 운영형태에 따라서는 같은 진료시간대에 근무하는 의원이 다른 진료시간대에 근무하는 의원보다 QWL이 높았으며, 차등적 수익배분을 하는 의원이 균등 수익배분을 하는 의원보다 QWL수준이 높았다. 구매결정방식에 따른 QWL은 대표원장이 단독결정 하는 의원보다 공동개원의사 전체가 그룹 결정하는 의원이 QWL이 더 높았다.

4. 공동개원에 대한 만족도중 전반적 만족도는 규모가 클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공동개원의사와의 관계가 지인이거나 동일수련병원 근무자인 경우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세부진료과목별로 진료하는 경우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공동개원에 대한 만족도중 경영환경 측면의 만족도는 공동개원의사의 진료과목이 서로 동종인 경우가 이종인 경우보다 높았으며, 공동개원의사와의 관계가 동일병원 수련경험이 있는 경우에, 공동개원 의사간 진료의 구분이 세부진료과목별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 더 높았다. 재정만족도는 대규모나 중규모에 비해 소규모가 가장 낮았고, 대도시가 지방도시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5. 공동개원에 대한 효과성 중 경영효과성 측면은 개원규모가 클수록 효과성이 컸으며, 대도시가 지방도시보다 경영효과성이 더 높았다. 또한, 수익배분을 균등배분하는 경우보다 차등배분하는 경우에 경영효과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동개원에 대한 효과성 중 진료효과성 측면은 공동개원의사간 진료의 구분이 세부진료과목별로 나누어진 경우에 더 효과성이 높았으며, 공동개원의사의 중도 탈퇴시 재산정리방법이 초기투자액 기준으로 반환하는 경우가 현재자산가치를 기준으로 반환하는 경우보다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할 때 공동개원 의원의 QWL, 만족도, 효과성은 개원규모가 크고, 동종 진료과목 의사끼리 개원을 하며, 소득분배시 인센티브 등을 통해 동기부여를 하고, 집단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에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향후 공동개원의 형태가 프렌차이즈, 네트워크 등을 통해 더 조직화되고, 대형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또한, 이에 따른 관리운영의 복잡화와 더불어 공동개원 의료기관의 정관개발, 공동개원 약정서, 제반관리규정, 관리운영, 의료사고 관련 규정 등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을 개발하여 공동개원 기관의 모델을 제시하도록 하는 학계 및 정부의 적극적인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겠다.





[영문]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roup practice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QWL (Quality of Working Life) by the forms of practice and managemen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effects on the subjects of local medical institution conducting group practice.

Research subjects were 1,066 local medical institutions owned by more than two representatives and mailing survey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frequenc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orms of group practice were the ones that having two doctors (66.4%) and over three doctors (24.6%), which were summarized that approximately 91% of local medical institutions had 2∼3 doctors. Forty four percent of medical institutions did not have beds. The average number of staffs including doctors was 13.3 and among these, the number of assistant nurses was largest (4.45). About 74% of group practice hospitals began practicing after the year of 2000 and the same kind of medical subject (70%) was more frequent than different kind of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group practice doctors were college alumni (39%), same hospital interns (30%), and equal investors (81%).

2. The forms of operating group practice were same operation hours system (55%), and same operation hours but shift system on Sundays and holidays (29%), summed by 84% of group practice doctors have worked on the same operation hours. Profits distributions were fixed amount system equally distributed (64%). The method of closing the assets in halfway withdrawal is that 44% of medical institutions would return at the ratio of investment after reevaluating their assets and 28% of institutions had no provisions of closing the assets in a halfway withdrawal.

3. Quality of Working Life was high in large size of group practice and single medical subject. However, as the relationship of doctors was family- related, QWL was low. In addition, by operation forms, same operation time system had higher QWL than different one. And doctors who have unequally graded profits distribution had higher QWL than equal distribution. In terms of QWL by the decision-making method, QWL of hospitals selecting decision-making method by whole group rather than by single representative were higher.

4. General satisfaction was high in large size of group practice, acquaintant relationships, and same hospital interns, and consultation by specific subjects was highest satisfaction. Moreover, satisfaction concerning management circumstances was higher in the same kind of medical subject in group practice doctors, same hospital interns, and consultation by specific subjects. Financial satisfaction was lower in small-scale than intermediate or large-scale and higher in large cities than small citie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5. When it comes to management efficacy of group practice, large size of group practice, large cities, and unequally graded distribution of profits had more efficacies. Additionally, consultation efficacies of group practice were high in specifically classified consultation and regarding the method of closing the assets in a halfway withdrawal, return in the ratio of intial invest amount was higher than in the ratio of current asset value.

In conclusions, QWL, satisfaction, and efficacy of group practice were high in large size of practice, same kind of medical subject, graded profits distribution such as incentives, and decision-making in a group. This implicates that future group practices need to be more systematical and larger through franchise or network. In addition to these complicated issues, developing practical plans such as articles of incorporation development, group practice agreement, various management regulations, management operation, medical malpractice, and medical accidents regulations is critical. And academic and governmental research and support to present group practice model are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78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6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