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684

Cited 0 times in

구조화된 집단상담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에 미치는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진-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4:25Z-
dc.date.available2015-11-22T07:44:2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545-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구조화된 집단상담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2003년 4월 22일부터 6월 11일까지 서울 N중학교의 비행청소년 21명(실험군 10명, 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2회씩 8회의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화된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시작 전과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Coopersmith(1981)의 Self-esteem Inventory를 한국실정에 맞도록 번역 수정하여 제작한 유윤자(2000)의 자아존중감척도와 Spielberger 등(1988)이 개발한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전겸구(1996)의 분노척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분노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지만 실험군은 실험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실험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분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지만 실험군은 실험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실험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분노억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분노표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적용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분노통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구조화된 집단상담이 중학생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상태분노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가져다줌을 확인하였으며 비행청소년의 경우 집단상담의 횟수를 늘려 반복하는 것이 효과를 입증하는데 필요하리라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중학교 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집단상담을 적용함으로써 비행청소년의 문제를 조기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tructured group therapy on self-esteem and anger in delinquents. This study employed a two-group pre-post test study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 subjects from April 22 to June 13, 2003 at N middle school in Seoul, Korea. 11 subjects were controlled group, 10 subjects were experimental group. The structured group therapy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upon real therapy, logotherapy, forgiveness and communication training.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rapy 60 minutes a session for 8 sessions. The Self-Esteem Inventory of Coopersmith(1981) and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of Spielberger(1988) were the instruments to collect the data.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dow and Wilcoxon sign rank test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state ange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expression of anger, suppression of anger and control of anger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from pre to pos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this structured group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state anger in this sample of delinqu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구조화된 집단상담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a structured group therapy on self-esteem and anger in delinqu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Eun J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